"덥고 추운 날씨는 무엇 때문일까?"
포스텍 환경공학부 감종훈 교수는 "인간"을 지목했다.
2019, 2020년 러시아 서북 지역에서 110여년 만에 이례적으로 나타난 덥고 습한 겨울을 분석한 결과 "인간이 만든 이상 기후"라는 답을 얻었다. 특히 이 지역의 겨울 날씨는 유라시아 지지역의 봄, 여름 기후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간과할 수 없다는 게 김 교수의 판단이다.
포스텍(포항공대·총장 김무환) 환경공학부 감종훈 교수팀은 기후 모델 미래 전망 데이터(CMIP6)를 이용해 러시아 서북지역 이상기온을 분석한 결과, 2019~2020년 북대서양 진동이 강하게 나타나 이상기온이 발생하긴 했지만 인류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증가가 없었다면 진동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해당 연구결과는 미국기상학회보에 최근 게재됐다.
연구팀은 온실가스 증가로 북극이나 남극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 영구동토층이 녹아 이듬해 봄철 홍수와 산사태 위험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또 눈과 얼음이 빨리 녹으면서 사용할 수 있는 수자원도 줄어 여름철 가뭄위험까지 높아졌다고 봤다.
연구팀은 이를 과학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북대서양 진동에 주목했다. 북대서양 진동은 아이슬란드 저기압과 아조레스 고기압 사이 해면 기압의 차이가 시소처럼 변동하는 현상이다. 이 진동이 바뀌면 특정지역에 더운 겨울이 발생하는데, 연구팀은 온실가스가 진동변화의 원인으로 파악했다. 인류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증가가 없었다면 겨울철 덥고 습한 날씨가 발생할 확률이 거의 없다는 얘기다.
연구팀은 CMIP6 분석에서,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러시아 서북지역에서의 더운 겨울 발생 확률은 20배, 습한 겨울은 30배 높아진 것을 확인했다. 앞으로 이 지역에서 덥고 습한 겨울이 자주 발생할 것으로 보이는만큼 우리나라 봄·여름 날씨도 비슷한 경향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감종훈 교수는 "겨울의 기후 변화는 이듬해 봄과 여름의 자연재해 가능성을 높이기 때문에 면밀히 살필 필요가 있다"며 "특히 해당 지역이 우리나라 기후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서라도 지속적인 연구가 중요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