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황경로 전 포스코 회장 등 원로들, "포스코 정체성 훼손한 현 경영진 자성하라"

성명서 발표…"국민기업 수식어는 포스코가 민영화됐다고 없어지지 않아"
"연쇄적 안전사고, 정비 예산 등 무리한 절감과 느슨한 안전교육 때문" 지적

포스코 본사 전경. 매일신문DB
포스코 본사 전경. 매일신문DB

포스코 전직 최고위 임원을 지낸 6명이 16일 "'포스코 정체성'을 훼손하는 현 경영진의 진정한 자성을 촉구한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황경로 전 포스코 회장을 비롯해 안병화 전 포스코 사장, 이상수 전 거양상사 회장, 여상환 전 포스코 부사장, 안덕주 전 포스코 업무이사, 박준민 전 포스코개발 사장 등은 성명서에서 "현 포스코 경영진이 갑자기 '더 이상 포스코는 국민기업이 아니다'라는 요지의 '포스코 정체성'을 부정하는 글을 직원들에게 배포함으로써 이를 비난하는 사회적 파장이 일어났다는 기사를 접한 창립 원로들은 큰 당혹감을 느끼며 후배 경영진에게 우리의 의견을 전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앞서 포스코그룹 지주회사인 포스코홀딩스는 지난달 6일 직원 개인 이메일을 통해 "포스코그룹이 국민 기업이라는 주장은 현실과 맞지 않으며 미래 발전을 위해서도 극복해야 할 프레임이다. 대일청구권 자금 역시 모두 상환했으니 국민기업으로 부를 수 없다"고 밝힌 바 있다.(매일신문 4월11일 보도)

이와 관련한 보도를 접한 창립요원들은 "대일청구권 자금은 '돈의 문제'를 초월하는 것이다. 또 민족기업, 국민기업이라는 수식어는 포스코가 민영화되었다고 없어지지는 않는다"고 했다. 또 "법규적 요건에 의한 '국민기업'과 역사적, 윤리적, 전통적 근거에 의한 '국민기업' 칭호는 구별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상업상 주식회사인 국영기업체로서 출범한 포스코가 대일청구권자금에 의존해 포항 1기 건설을 시작한 당시부터 줄곧 '제철보국'의 기치 아래 성공적으로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정도경영의 모범'을 보이며 중화학공업을 선도해 나가 자연스럽게 '국민기업'이란 영예의 애칭이 따르게 된 것이지 일정 요건에 의한 법적 칭호가 아니었다"고 했다.

이들은 "최정우 회장에게 직접 의사를 통보하려 했으나 극구 대면을 회피해 우선 우리의 의견을 공개한다"며 "1968년 4월 포스코 창립멤버 34인 중 25인이 타계하고 현재 건강 상태가 비교적 괜찮은 우리 6인을 포함해 9인만 생존해 있지만 이번 고언에는 하늘에 계신 박태준 회장을 비롯한 창립멤버 34인 모두의 이름으로 '포스코 정체성을 훼손하는 현 경영진의 진정한 자성을 촉구하는 뜻'을 담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최근 산재사고 급증과 교육지원 소홀에 대해서도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이들은 "정비 예산이나 설비교체 예산의 무리한 절감과 느슨한 안전교육 때문에 연쇄적으로 발생했던 산재사고에 대해 종합제철공장에서 안전과 복지에 대한 적시적소 투자와 교육은 직원을 아끼고 사랑하는 경영철학에서 비롯되며 이것 역시 '포스코 정체성의 유전인자'라는 점을 현 경영진이 새삼 명심할 것을 충고한다"고 했다.

아울러 "현 경영진은 포스텍에는 '포스코와 국가의 백년대계'라는 건학이념을 계승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깊이 인식해야 한다"며 "금년부터 포스코교육재단 학교들에 지원을 중단한 것에 대해 그것이 포스코, 신사업분야, 미래기술연구원, 포스텍의 우수인재 유치와 확보에 걸림돌이 된다는 차원에서도 재고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