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상북도가 내년 출범 예정인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소관 사무 발굴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애초 교통·관광 등 분야에 한정한 사무를 염두에 뒀지만 경계 없는 전 분야 신규 사업 발굴로 차후 선택의 폭을 넓이겠다는 전략이다.
24일 대구시와 경북도 등에 따르면 양 시·도는 대구시와 경북도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사업, 특별지방자치단체 관장 사무로 적합한 신규사업 발굴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달 중 관련 부서별 자료를 취합한 뒤 내달 사업별 담당자 회의를 거쳐 7월에는 추진 일정, 예산 등 사업별 구체화 작업을 벌인다. 8월 말까지 종합검토 및 사무 선정 과정을 거쳐 1차 사업 발굴을 마치고 9~11월 2차 발굴을 통해 12월 최종 사무 확정을 한다.
이 과정에서 이미 발굴 돼 대구경북 상생협력사업으로 관리 중인 사업은 신규 제출 대상에서 제외된다. 사회인프라, 경제·산업, 문화·관광, 환경, 일반행정 등 분야에 걸친 상생협력사업은 총 43개 과제로 구성돼 있다.
이 외 협력 사업으로 적절한 것을 최대한 찾아보는 게 이번 작업의 취지인 셈이다.
취합 작업은 대구경북 광역행정기획단이 맡는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내년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를 위한 실무 작업을 위해 지난 3월 광역행정기획단을 출범한 바 있다.
4월에는 시·도지사, 시·도의회 의장 등이 서명한 협약서도 정부에 제출, 특별지자체 설치 추진을 공식화 했다.
특별지자체는 2개 이상 지자체가 공동으로 특정 목적을 위해 광역 사무를 처리할 필요가 있을 때 설치하는 공공단체다. 지난해 4월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위한 공론화위원회가 활동을 마친 뒤 향후 추진 과제로 제안된 바 있다.
부산·울산·경남은 이미 지난달 국내 첫 특별지방자치단체인 '부울경특별연합'을 출범한 뒤 부울경 메가시티를 향한 초광역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구경북은 부울경에 이은 두 번째 특별지자체 설치 사례로 유력한 여건이다. 지난해 11월 이미 대경특별지자체 설치 방안 용역을 완료했고 올해 1월 정부로부터 광역행정기획단 승인을 받았다.
기획단 실무진들은 오는 6월 지방선거와 무관하게 신규사업 발굴 등 업무를 추진 중이다.
지역 관가 관계자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두고는 회의적 시선이 많았으나 기능별 특별연합 형태인 특별지자체에는 대구시장, 경북도지사 유력 후보들이 긍정적 입장을 보인다"면서 "앞서 나간 부울경을 부러워만 할 게 아니라 내년 출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면밀히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