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경북도, 특별지자체서 다룰 신규사업 발굴 잰걸음

기존 대구경북 상생협력과제와 별도로 신규사업 발굴 중
하반기까지 2차례 사업 발굴 후 연말 특별지자체 사무 선정 마무리 계획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 DB
경북도청 전경. 매일신문 DB
대구시청 본관 전경. 매일신문 DB
대구시청 본관 전경. 매일신문 DB

대구시와 경상북도가 내년 출범 예정인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소관 사무 발굴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애초 교통·관광 등 분야에 한정한 사무를 염두에 뒀지만 경계 없는 전 분야 신규 사업 발굴로 차후 선택의 폭을 넓이겠다는 전략이다.

24일 대구시와 경북도 등에 따르면 양 시·도는 대구시와 경북도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사업, 특별지방자치단체 관장 사무로 적합한 신규사업 발굴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달 중 관련 부서별 자료를 취합한 뒤 내달 사업별 담당자 회의를 거쳐 7월에는 추진 일정, 예산 등 사업별 구체화 작업을 벌인다. 8월 말까지 종합검토 및 사무 선정 과정을 거쳐 1차 사업 발굴을 마치고 9~11월 2차 발굴을 통해 12월 최종 사무 확정을 한다.

이 과정에서 이미 발굴 돼 대구경북 상생협력사업으로 관리 중인 사업은 신규 제출 대상에서 제외된다. 사회인프라, 경제·산업, 문화·관광, 환경, 일반행정 등 분야에 걸친 상생협력사업은 총 43개 과제로 구성돼 있다.

이 외 협력 사업으로 적절한 것을 최대한 찾아보는 게 이번 작업의 취지인 셈이다.

취합 작업은 대구경북 광역행정기획단이 맡는다. 대구시와 경북도는 내년 특별지방자치단체 설치를 위한 실무 작업을 위해 지난 3월 광역행정기획단을 출범한 바 있다.

4월에는 시·도지사, 시·도의회 의장 등이 서명한 협약서도 정부에 제출, 특별지자체 설치 추진을 공식화 했다.

특별지자체는 2개 이상 지자체가 공동으로 특정 목적을 위해 광역 사무를 처리할 필요가 있을 때 설치하는 공공단체다. 지난해 4월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위한 공론화위원회가 활동을 마친 뒤 향후 추진 과제로 제안된 바 있다.

부산·울산·경남은 이미 지난달 국내 첫 특별지방자치단체인 '부울경특별연합'을 출범한 뒤 부울경 메가시티를 향한 초광역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대구경북은 부울경에 이은 두 번째 특별지자체 설치 사례로 유력한 여건이다. 지난해 11월 이미 대경특별지자체 설치 방안 용역을 완료했고 올해 1월 정부로부터 광역행정기획단 승인을 받았다.

기획단 실무진들은 오는 6월 지방선거와 무관하게 신규사업 발굴 등 업무를 추진 중이다.

지역 관가 관계자는 "대구경북 행정통합을 두고는 회의적 시선이 많았으나 기능별 특별연합 형태인 특별지자체에는 대구시장, 경북도지사 유력 후보들이 긍정적 입장을 보인다"면서 "앞서 나간 부울경을 부러워만 할 게 아니라 내년 출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면밀히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