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민주 또 내로남불?… "586 용퇴" 송영길엔 '입꾹닫', 박지현엔 "이게 지도부냐"

더불어민주당 박지현 상임선대위원장이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정균형과 민생안정을 위한 선대위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박지현 상임선대위원장이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정균형과 민생안정을 위한 선대위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지현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깜짝 발언한 '586(50대, 80년대 학번, 60년대생) 용퇴론'에 민주당이 내홍을 빚는 모양새다. 고작 4개월 전 송영길 민주당 대표가 같은 발언을 했던 당시와는 분위기가 달라도 너무 다르다는 지적이 나온다.

박 위원장이 25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첫 선대위 합동회의에서 "대선에서 졌는데 내로남불도 여전하고, 성폭력 사건도 반복되고, 팬덤정치도 심각하고 달라진 것이 없다"며 당내 586 인사들을 향해 "민주주의를 회복하고 정착시키는 역할을 완수한 만큼 아름다운 퇴장을 준비해야 한다"고 발언했다.

발언 직후 본 회의는 15분간 비공개로 전환됐고, 박 위원장과 다른 참석자들의 고성이 이어지는 등 갈등이 고조됐다.

회의에 동석한 '86그룹' 윤호중 위원장과 박홍근 원내대표, 김민석 선대위 공동총괄본부장 등은 불쾌감을 드러냈다.

윤 위원장은 붉게 상기된 얼굴로 책상을 치고 "이게 지도부인가"라며 회의실을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박 원내대표도 "여기가 개인으로 있는 자리가 아니지 않나"라고 비판했다. 전해철 의원은 "무슨 말이건 좋은데 지도부와 상의하고 공개 발언을 하라"고 가세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본부장은 "질서 있는 혁신 과정에서 각종 현안이 당헌·당규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고 들었다"며 "(민주당은) 지도부 일방 또는 개인의 지시에 처리되는 정당이 아니다"고 했다.

이에 박 위원장은 꿋꿋이 "봉하마을 다녀와서 느낀 것 없나. 노무현 정신 어디 갔나"라며 "저를 왜 뽑아서 여기다 앉혀 놓으셨나"라고 맞받아친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5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 안팎에선 송영길 대표가 대선 기간 비슷한 발언을 했던 것을 일러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냐'는 반응도 나온다.

'586 용퇴' 주장은 송 대표도 이재명 당시 대선 후보 지지율 반등을 꾀하며 승부수로 내놓은 바 있다. 송 대표는 인천시장을 역임한 5선 국회의원이자 민주당 내 '86그룹'의 맏형으로 꼽힌다. 송 대표 주장은 용인하고 박 위원장 주장에는 반발한다는 것이다.

송 대표는 지난 1월 25일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의 총선 불출마를 포함해 서울 종로 등 3곳의 지역구 재보선 무공천과, 같은 지역구 4선 연임 금지 등을 포함한 인적 쇄신안을 발표했다.

그보다 이틀 전 당내에서 제기된 586 용퇴론과 이재명 후보 측근 그룹인 7인회 백의종군 선언의 흐름을 수용한 것으로 풀이됐다.

당시 송 대표는 "586 세대가 기득권이 됐다는 당 내외 비판의 목소리가 있다"며 "선배가 된 우리는 이제 다시 광야로 나설 때다. 자기 지역구라는 기득권을 내려놓고 젊은 청년 정치인들이 도전하고 전진할 수 있도록 양보하고 공간을 열어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송 대표의 이 같은 발언에도 당시 '586 용퇴'가 실제 이뤄지진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후 송 대표는 지방선거에서 서울시장 후보로 출마해 현 시장인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와 경쟁하고 있다.

당시 발언은 그저 '선거활동' 구호일 뿐이고, 현재도 당내 기득권을 쥔 일부 인사에게 힘을 싣고자 옛 기득권이던 인사들의 힘을 빼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세대교체는 자연스럽게 이뤄지는 게 맞다. 의식적으로 선언하는 것은 지방선거가 코앞인 현 시기에도 맞지 않고, 자칫 앞서처럼 선거운동을 위한 구호로만 쓰고 효용을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어 불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