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보건증 발급 안돼 민간병원으로…대구 보건소 민원 업무 재개 언제?

보건소 "재택치료자 관리 업무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게 우선"
대구시 "구·군과 협의 거쳐 6월 중 민원 업무 재개 노력 중"

지난 3월 대구 북구보건소 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매일신문 DB
지난 3월 대구 북구보건소 선별검사소를 찾은 시민들이 검사를 받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매일신문 DB

의료체계 전반이 정상화 궤도에 올랐지만 보건소의 민원 업무는 여전히 재개 시점이 불투명한 형편이다.

일선 보건소들은 재택치료자 관리에 인력이 대거 투입돼 있어 민원 업무를 전면 정상화하기 어렵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지난 30일 대구시는 8개 구‧군 보건소 관계자들과 회의를 열고 보건소의 대면 민원 업무 재개 시점에 대해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시 관계자는 "다음 달 초부터 보건증 발급을 포함한 대면민원 업무를 재개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구·군 보건들은 "시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맞섰다.

이는 정부가 확진자 격리 의무가 있는 '이행기'를 당초 계획한 지난 22일에서 6월 20일까지 4주 더 연장한 탓이다. 재택치료 및 자가격리자 관리 업무 부담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민원 업무를 재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더구나 이행기가 끝나더라도 즉시 대면업무를 재개하기도 어렵다는 게 보건소의 입장이다. 업무 재개에 앞서 부서 및 인력 배치와 장비 점검 등을 거쳐야 해서다.

대구시내 한 보건소 관계자는 "확진자 격리 의무가 사라져야 보건소 인력도 숨통이 트인다"며 "재택치료자 관리 업무에 코로나19 예방접종까지 하고 있어 현재로서는 보건증 발급 등 대면업무를 재개하기 부담스럽다"고 했다.

이런 가운데 시민들은 보건증을 발급해주는 민간병원을 수소문하는 등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매년 보건증을 발급받아야 하는 외식업 종사자들의 반발이 거세다.

보건소의 보건증 발급 수수료는 3천원이지만, 민간 병·의원에서는 4배 가량 비싼 1만2천원을 내야한다.

한국외식업중앙회 관계자는 "유흥접객원과 외식업 관련 종사자들은 매년 보건증을 발급받아야 하는데 비용이 비싸면 아무래도 직원들에게 강제로 요구하기 어렵다"면서 "보건증 발급이 가능한 병·의원을 찾아다니는 것도 부담"이라고 했다.

일부 시‧도에서 보건증 발급 등 대면 민원 업무를 재개한 것과도 비교된다.

광주의 경우 5월 23일부터 5개 기초단체 보건소에서 보건증 발급과 각종 대면 민원 업무를 재개했다. 서울과 부산은 구·군별로 자율적으로 업무를 정상화하고 있다.

이와 관련, 대구시는 구‧군과 협의를 거쳐 다음 달부터는 보건소 민원 업무를 재개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보건복지부는 보건소 업무를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정상화할 것을 지시했다"면서 "대구는 8개 보건소가 같은 시기에 업무를 정상화하는게 적절하다고 보고 6월 중에는 민원 업무를 재개할 수 있도록 보건소들과 조율할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