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여당이 대승을 거두자 국민의힘에 대한 윤석열 대통령의 장악력이 높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과정에서 이른바 '윤풍(尹風)'의 위력이 확인됐고 임기 후반기 정국주도권을 확실하게 쥐기 위해서는 '1호 당원'의 여당 내 영향력을 극대화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관건은 그 중책을 누가 맡느냐다. 정치권에선 이른바 '윤핵관'(윤석열 대통령의 핵심 관계자)으로 대표되는 친윤그룹에 힘이 실리거나 유력 당권주자를 친윤그룹이 끌어안는 모양새가 연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친윤그룹 주류를 이룰 것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인사들은 윤 대통령의 정치 입문 때부터 함께 해온 이른바 '윤핵관'들이다.
'윤핵관'으로는 권성동 원내대표와 장제원 의원 등이 1순위로 꼽히고 윤한홍·이철규 의원 등도 함께 거론된다. 국민의힘 최다선인 5선의 정진석 국회 부의장도 당내 대표적인 친윤 중진으로 꼽힌다.
이들이 향후 당직개편이나 조기전대 등을 거치면서 주요 당직을 맡으며 '몸풀기'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다. 다만 '윤핵관'으로 권력 쏠림이 심화하면 당내 견제 심리가 발동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이에 당내에선 아예 공부모임 등 의원 모임을 새로 만들어 친윤계 의원들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창구를 마련하자는 아이디어도 나온다. 개방적인 형태로 '친윤그룹'의 세를 확장해 나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아울러 친윤그룹이 전면에 나서지 않고 당권주자를 간판으로 내세우는 방안도 언급되고 있다. 정치쇄신을 강조하며 당선된 윤 대통령이 여당을 청와대 직할체제로 만드는 방식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분당갑 보궐선거로 원내에 재입성하는 안철수 전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의 당권 도전 여부와 안 의원에 대한 친윤그룹의 태도가 향후 당권지형을 가를 변수가 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또한 '성상납 의혹' 논란 속에 당 윤리위에 회부된 이준석 대표의 거취가 어떻게 결정되느냐도 차기 당권과 관련해 주목할 대목이다.
국민의힘 당헌은 궐위된 당 대표의 잔여 임기가 6개월 미만일 경우 원내대표가 그 직을 승계하고, 6개월 이상이면 임시전대를 열어 당 대표를 뽑되 임기는 전임 대표의 잔여 임기로 하게 돼 있다.
내년 6월까지가 임기인 이 대표가 만약 이달 말 징계를 받고 물러난다면 새로 뽑힐 지도부의 임기도 그때까지다. 이 경우 2024년 4월 치러지는 22대 총선의 공천권을 행사할 수 없기 때문에 당권 도전자가 거의 없으리란 관측이 나온다.
당내에선 상황이 어떻게 전개되더라도 윤 대통령의 의중이 여당의 차기 당권결정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친윤그룹이 직접 나서든 간판을 내세우든 결국은 윤 대통령의 낙점을 받는 인사가 차기 당권에 근접할 것"이라며 "아직은 시간이 좀 남아 있기 때문에 정국흐름을 예의주시하면서 선택지를 결정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