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통령실 "노동 유연화는 명확한 尹 방침…'연장근로 월 전환 미정' 뜻"

尹 "보고받지 못한 게 나왔다" 발언에 '소통 안됐나' 논란…대통령실 수습 시도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고용노동부가 주 12시간 연장근로 등 '노동시장 유연화' 개혁을 추진한다는 소식과 관련, 부처와 대통령이 엇박자를 냈다는 논란이 확산하자 대통령실이 거듭 해명했다.

대통령 대변인실은 25일 입장문을 내고 "어제(24일) 윤 대통령의 도어스테핑(약식 회견) 발언 취지에 대해 설명드린다"고 알렸다.

대변인실은 "윤 대통령의 발언은 '조간에 집중 보도된 주 12시간 연장근로의 월 단위 전환 내용이 확정된 정부 방침이 아님'을 밝힌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근로시간 유연화 등 노동시장 개혁 과제는 윤 대통령의 명확한 지시사항이며, 구체적인 안은 민간 전문가 연구회를 통해 논의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대통령이 고용노동부의 노동시장 개혁 추진 방향을 보고받지 못했거나 방향을 돌린 게 아니라는 점을 재차 강조한 것이다.

전날 윤 대통령이 출근길 약식 회견에서 관련 발언을 했다가 논란이 커지자 대변인실이 진화에 나선 모습니다.

윤 대통령은 당시 출근길 회견에서 노동부 발표에 포함된 '주 52시간제 유연화' 관련 질문에 "어제 보고를 받지 못한 게 아침 언론에 나와 확인해보니, 노동부에서 발표한 게 아니고 부총리가 노동부에다가 민간연구회라든가 이런 분들의 조언을 받아서 '노동시장의 유연성에 대해 좀 검토해보라'고 이야기해 본 사안"이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아직 정부의 공식 입장으로 발표된 것은 아니다"라고 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 23일에 근로시간 개편과 임금체계 개편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한 노동시장 개혁 추진 방향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이 '공식 입장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보니 핵심 정책을 두고 대통령실과 정부 간 소통이 이뤄지지 않은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날 오후에도 기자들과 만나 해명을 시도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대통령이) 아침 신문을 보고 정부의 최종 결정이 이뤄진 것으로 생각해 그런 보고를 못 받았다고 생각한 것이지, 관련 보고를 못 받았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또 다른 관계자도 "대통령이 기본적으로 다 알고 계신 내용이다. 노동시간 유연화는 이미 대통령 머릿속에 담겨 있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