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전문대 '반도체 학과' 성과…최근 2년간 취업자 700명 넘어

영남이공대 2021년 이후 최근까지 반도체 기업에 250명 취업
같은 기간 영진전문대도 반도체 분야에 483명 진출
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맞춤형 교육 전략이 주효
이론을 비롯해 실습 교육 등 현장 주문형 교육과정

영진전문대의 반도체 관련 실습 모습. 영진전문대 제공
영진전문대의 반도체 관련 실습 모습. 영진전문대 제공

대구 전문대가 기업 맞춤형 전략을 통해 반도체 분야 취업에서 눈에 띄는 성과를 내고 있다. 반도체 학과를 둔 지역 전문대 두 곳의 최근 2년간 취업자가 400명을 웃도는 등 일반대 부럽지 않은 결실을 거두고 있다.

현재 대구 전문대 가운데 반도체 관련 학과를 둔 곳은 영남이공대(ICT반도체전자계열)와 영진전문대(반도체전자계열)가 대표적이다. 2021년 이후 현재까지 이들 대학 졸업생 중 반도체 관련 기업 취업자는 733명으로 집계됐다.

영남이공대는 2021년부터 올해 5월까지 모두 250명이 반도체 기업에 입사했다. 중견기업 이상의 취업 현황을 보면, SK실트론 21명과 SK하이닉스 17명, LG디스플레이 72명, LG이노텍 41명 등 대기업이 상당수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스태츠칩팩코리아(22명)와 국제엘렉트릭코리아(12명)에도 진출했다.

박만교 영남이공대 대외협력부총장은 "2년 전부터 반도체 분야의 인력 수요를 예상했다. 이에 SK와 LG 등 대기업과 협력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과 역량을 파악한 뒤 교육과정에 녹여냈다. 전공교육뿐만 아니라 특강 등의 방식으로 '족집게 과외'를 한 것이 주효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역 특성화고 졸업생과 기업을 잇는 역할을 한 것도 성과를 내고 있다. 고교 졸업 후 반도체 기업에서 일하면서 전문학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는 '일 학습 병행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했다.

영진전문대는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반도체 관련 기업에 483명이 취업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가운데 LG디스플레이 100명과 LG이노텍 82명, SK하이닉스 44명 등이 대기업에 진출했다. 더불어 삼성전자 반도체 공정관리 전문기업인 에이블과 베스트피엠피에 각각 90명과 37명, 반도체 패키징 기업인 스태츠칩팩코리아에 7명 등 중견기업으로의 취업도 활발했다.

지역 전문대 졸업생들은 주로 ▷대기업의 반도체 제조공정 메인트넌스(Maintenance) 직종(장비 유지보수 관리) ▷공정관리 전문기업 ▷패키징 및 테스트 기업 ▷반도체 핵심 소재인 웨이퍼 제조사 등에 진출하고 있다.

이들 대학 반도체 학과에선 기업과 연계한 협약반 등의 형태로 플라즈마공학과 반도체공학, 반도체CAD 등 이론 과목과 실습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영진전문대는 1학년 겨울방학에 경북대 반도체융합기술연구원에서 반도체 공정 실습 교육을 벌인다.

하종봉 영진전문대 반도체전자계열 교수는 "반도체 분야는 대학원·일반대·전문대·고교 등에 따라 연구개발과 설계, 생산, 유지보수, 공정관리 등 인력 수요가 세분화돼 있다"며 "필요한 수요에 맞춰 주문형 교육과정을 운영한다면 충분히 취업 경쟁력이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