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상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여야 3당 모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체제인 상황을 지적하며 "반성해야 할 대목이 있다"고 말했다.
우 위원장은 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모두발언에서 "국민의힘이 결국 비대위 체제로 간다고 한다. 원내 제 1, 2, 3당 다 비대위 체제로 접어드는 희한한 정치상황을 경험하게 됐다"며 "어느 당 비대위가 더 잘하나, 누가누가 더 잘하나 이런 경쟁이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전날 국민의힘이 비대위로 전환키로 결정하면서, 국회 1·2·3당이 모두 비대위 체제가 됐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3월 대선에서 패배한 직후 '윤호중·박지현 비대위'를 가동하다가 6·1 지방선거 패배 후 '우상호 비대위' 체제가 들어섰다. 정의당은 지방선거 패배 뒤 여영국 전 대표가 물러나고 '이은주 비대위'로 전환했다.
우 위원장은 이런 현상을 지적하며 "그만큼 대한민국의 정치상황이 심각하다는 뜻이며, 반성을 해야 할 대목이다. 정당정치가 얼마나 취약하면 이렇게 모든 정당이 비대위 체제로 가겠나"라고 했다. 이어 "이 시점에서 정치 시스템을 어떻게 가져가야 할지 고민해볼 필요도 있다"고 했다.
우 위원장은 대통령실을 향해서도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계속 추락하고 있다"며 "권력기관 장악, 정치보복 수사에 몰입하며 민생을 챙기지 않으니 이런 상황이 온 게 아니냐. 국정운영기조를 바꿔야 한다고 경고한 바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거듭된 충고에도 정부는 계속 문재인 정부 때의 인사 문제를 갖고 부처를 압수수색하거나 장관 및 실무자를 소환조사하고 있다. 더는 구두경고만 할 수 없겠다 싶어서 저희도 이번 주부터 구체적 '액션플랜'을 세워 맞대응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우 위원장은 "행정안전부 경찰국 설치 문제도 이상민 행안부 장관에게 경고를 했지만 요지부동이다. 다음주부터 단계적으로 대응 수위를 높여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