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환경부 "낙동강 정수한 대구 수돗물서 조류 독소 미검출"

문산·매곡 등 낙동강 수계 정수장 5곳 조사…마이크로스시스틴 검출 안돼
극심한 녹조는 뚜렷한 대책 없어…"보 더 개방하면 생활·농업 용수 취수 어려워"

지속된 가뭄과 폭염 등의 영향으로 인해 낙동강 수계의 녹조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강정고령보 일대를 점령한 녹조. 매일신문 DB.
지속된 가뭄과 폭염 등의 영향으로 인해 낙동강 수계의 녹조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강정고령보 일대를 점령한 녹조. 매일신문 DB.

환경부가 녹조가 창궐하고 있는 낙동강을 상수원으로 쓰는 대구와 경남, 부산 수돗물에서 독성 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8일 밝혔다.

마이크로시스틴은 녹조를 일으키는 남조류가 생성하는 독성물질로 인체에 흡수되면 간과 폐, 생식기 등에 악영향을 끼친다.

최근 대구환경운동연합은 대구에 물을 공급하는 문산·매곡·고산정수장의 원수와 정수에서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됐다고 주장해 파장이 일었다.

이날 환경부에 따르면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가 지난 2일 대구·부산·경남 정수장 5곳(문산·매곡·화명·덕산·함안칠서)에서 정화된 수돗물을 분석한 결과, 조류 독소 물질인 '마이크로시스틴'이 검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고산정수장은 남조류가 거의 없는 운문댐에서 원수를 취수하는 점을 고려해 분석 대상에서 제외했다.

환경부는 이번 분석에서 환경부 고시에 규정된 마이크로시스틴 분석법(LC-MS/MS법)과 대구환경운동연합이 부경대 연구진에 의뢰한 분석법(ELISA법)을 모두 사용한 결과를 제시했다.

환경부는 두 가지 분석 방법의 장·단점도 설명했다. ELISA법은 결과가 3~5시간이면 나오지만, 분석자의 숙련도 등에 따른 변수가 크고, 정확도가 낮다고 했다.

특히 마이크로시스틴이 소량일때 정확도가 낮아 미국 환경보호국(EPA)의 경우 검출량이 1L당 0.03㎍ 이하면 보고하지 않도록 한다는 것이다.

반면, LC-MS/MS은 분석자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오는 변수가 적고 정확도가 높지만, 분석시간이 1~2일로 상대적으로 오래 걸린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향후 ELISA법을 정수 과정을 거치기 전 원수에 대한 사전 모니터링 등으로 활용하는 등 두 방법 모두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할 방침이다.

1일 현재 대구경북권 내 낙동강 조류 경보 발령 지점 가운데 해평은 '경계' 단계, 강정·고령은 '관심' 단계다.

환경부는 정수 과정에서 마이크로시스틴 99.98% 제거된다는 입장이다. 다만 독소 물질의 근본 원인인 녹조 현상에 대한 뚜렷한 해답은 내놓지 못했다.

녹조를 예방하려면 하천의 유속을 높여야 하지만 가뭄이 계속되면서 유속을 높이기 어렵다는 게 이유다. 낙동강 수계의 다목적댐 저수량은 현재 12억톤으로 예년보다 4억t가량 적다.

환경부 관계자는 "유속을 높이려면 댐에서 물을 많이 내려보내야 하는데 현재 저수량이 적어서 어렵다"면서 "보를 더 개방해 수위가 낮아지면 생활용수와 농업용수 취수·양수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