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보건복지부 국정감사는 윤석열 대통령의 '아나바다'(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꿔쓰고 다시쓰기의 줄임말) 질문을 놓고 벌어진 여야 간 날선 공방이 반말과 고성으로까지 이어지며 파행을 겪었다.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을 향해 "윤 대통령이 지난달 세종시 어린이집을 방문하기 전 복지부가 (윤 대통령에) '아나바다'의 뜻을 보고했다는 실무자료가 있다"며 "이해가 부족한 상태에서 현장 소통을 시도해서 그런지 대통령이 현장만 가면 논란이 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의 질의가 끝나자 강기윤 국민의힘 의원은 의사진행발언을 신청해 "'대통령이 아나바다를 아느냐, 모르느냐' 같은 부분을 침소봉대해서 (야당이) 말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강 의원의 발언은 명백하게 선을 넘은 것이며 동료 의원이 복지부를 상대로 질의를 한 내용을 왜 품평하느냐"라며 "본인은 본인 질의 시간에 대통령을 옹호하든 복지부를 옹호하든 해당 발언을 설명하든 해라. 가만히 계셔라"라고 받아쳤다.
이에 강 의원이 김 의원을 향해 "니(너)나 가만히 계세요"라고 목소리를 높였고, 김 의원은 "지금 뭐라고 하셨냐. 정정할 기회를 드리겠다"며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강 의원은 물러서지 않고 "내가 니라고 왜 못해"라며 "당신이 나를 훈계할 수 있느냐"라고 맞받았다.
야당 의원들이 강 의원에게 사과를 요구하면서 고성이 이어지자 결국 정춘숙 복지위원장은 "더 이상 회의를 진행할 수 없다"며 정회를 선언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달 27일 세종시의 한 어린이집을 방문해 보육교사에게 '아나바다'의 뜻을 물었고, 현장을 둘러보며 "아주 어린 영·유아들은 집에 있는 줄 알았더니, 아기들도 여기를 오는구나. 두 살 안 되는 애들도"라고 말했다.
김 의원에 따르면 당시 방문 행사를 준비한 복지부 자료에는 '아나바다'의 뜻과 어린이집 보육 대상이 만 0~5세 영·유아라는 점이 명시돼 있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