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 경북 최초 WHIS(세계관개시설물유산) 등재

제24회 국제관개배수위원회 총회서 결정
선조들 고안한 농경문화 유산 국가농업유산 제10호로 등재

김태희 의성군 관광경제농업국장 등이 제24회 국제관개배수위원회 총회에 참석해
김태희 의성군 관광경제농업국장 등이 제24회 국제관개배수위원회 총회에 참석해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의 세계관개시설물유산 등재를 기념하는 인증 사진을 찍고 있다. 의성군 제공

경북 의성군의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이 경북 최초로 세계관개시설물유산(WHIS)으로 등재됐다.

12일 의성군에 따르면 지난 3~10일 호주 애들레이드에서 열린 제24회 국제관개배수위원회(ICID) 총회에서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이 세계관개시설물유산으로 최종 등재됐다.

세계관개시설물유산은 역사·사회·기술적으로 가치가 있는 전 세계 관개시설물을 보존‧관리하기 위해 국제관개배수위원회에서 2014년부터 운영하는 제도다. 현재 17개국 총 140곳이 지정된 상태로, 이 중 우리나라는 의성군 등 총 8곳이 포함돼 있다.

의성 전통수리 농업시스템은 비가 적고 물 빠짐이 심한 토양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선조들이 고안한 농경문화 유산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사화산(死火山)인 금성산 주변에 둑을 쌓아 물을 가둔 1천여 개의 못과 관련한 수리 시스템이다. 고도차에 따라 못과 못이 연결되고, 수통과 못종을 이용한 전통 관개배수의 형태를 계승하고 있다. 한정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수리계와 못도감 제도를 현재까지 이어오고 있다. 2018년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0호로 등재됐다.

김주수 의성군수는 "이번 세계관개시설물유산 등재는 의성군과 경북의 자랑이자 국위 선양에도 기여한 바 크다"며 "향후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UNFAO)의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에도 등재될 수 있도록 의성전통수리농업 지역주민협의체와 함께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