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에서 20년 넘게 쓴 노후 열수송관 비율이 전체의 9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의 노후관 비율도 42.4%에 달해 전국 3번째로 비중이 컸다.
1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양향자 무소속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받은 '지역별 20년 이상 장기사용 열수송관 현황'에 따르면 전국 열수송관(4천720㎞)의 30%(1천342㎞)는 20년 이상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열수송관은 한국지역난방공사 등 열생산시설에서 주택·산업 등 열사용시설까지 고온의 물 등의 형태로 열에너지를 옮기는 설비를 이른다.
지역별 장기사용 열수송관 비중을 보면 경북이 전체 열수송관 19㎞ 가운데 장기사용 열수송관이 17㎞로 나타나 전국에서 가장 높은 89.5%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부산(46.3%) ▷대구(42.4%) ▷서울(37.3%) ▷경기(33.4%) 등 순으로 장기사용 열수송관 비중이 컸다.
길이 기준으로는 ▷경기(835㎞) ▷서울(318㎞) ▷대구(72㎞) ▷부산(37㎞) 순이었다.
20년 이상 장기 사용한 열수송관은 부식으로 인한 파열 사고 가능성이 큰 만큼 각별한 안전관리와 신속한 교체가 필수적이다.
한국지역난방공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 간 국내에서 발생한 열수송관 파열 사고의 70%는 노후화로 인한 부식이 원인이었다.
양 의원은 "노후 열수송관을 늦게 교체할수록 국민들이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된다"며 "이번 계기로 장기사용 열수송관의 관리 실태와 교체 진행 상황을 철저히 점검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