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검·경 이태원 참사 대응 총력 "사고 원인 찾아라"

경찰 '이태원 참사' 목격자 진술, CCTV·SNS 분석…발생 및 구조지연 요인 규명 나서
검찰도 사고대책본부 구성, 영장 업무 신속 처리 및 법리 검토 등 적극 지원

30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30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핼러윈 인파' 압사 사고 현장 부근에 취재진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9일 발생한 이태원 참사에 대해 검찰과 경찰이 발생 원인과 구조지연 요인 등을 규명하는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찰은 목격자 진술 및 영상 증거 확보 및 분석에 속도를 내고, 검찰은 경찰 수사에 따른 영장 업무 및 법리 검토 등에 대한 적극 지원 방침을 세웠다.

경찰은 이태원 압사 참사 경위 등을 수사할 서울경찰청 수사본부에 475명의 인력을 30일 투입해 사상자 신원 확인과 증거 확보에 힘쓰고 있다. 서울경찰청 과학수사과장이 팀장을 맡는 과학수사팀 151명, 서울경찰청 수사과장이 지휘하는 피해자보호팀 152명이 수사본부에서 활동한다.

경찰이 대규모 인원을 투입하는 것은 사고 당일 이태원에는 10만명에 가까운 대규모 인파가 몰린데다 좁은 골목길 사고 현장의 특성상 최초 사고 경위가 불명확해서다. 경찰 수사본부는 30일 사고 현장 일대의 폐쇄회로(CC)TV 등 영상 증거를 다수 확보해 분석 중이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올라온 현장 동영상도 확보해 상황을 재구성하고 있다.

경찰은 사고 원인 규명에 속도를 내고자 이번 사건을 '디지털증거 긴급분석' 대상으로 지정했다. 분석 대기 시간 없이 곧바로 증거 분석 절차에 돌입해 일반적인 사건보다 신속하게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경찰은 압사사고 관련 신고자나 주변 업소 관계자, 사고 현장에 있던 시민 등 목격자들을 상대로 최초 사고 발생 지점, 이후 상황이 흘러간 과정 등도 확인하기로 했다. 현장에 도착한 구조 당국의 수습을 어렵게 한 요인이 무엇인지도 따질 예정이다. 관할 지자체를 상대로는 충분한 사고 예방 조치를 했는지 조사할 방침이다.

대검찰청도 이날 비상회의를 열고 황병주 대검 형사부장을 본부장으로 사고대책본부를 구성했다. 관할 검찰청인 서울서부지검 역시 한석리 지검장을 반장으로 비상대책반을 구성했다.

검찰은 향후 경찰 수사 진행에 따라 구속·체포·압수·수색 영장 관련 업무를 신속하게 처리하기로 했다. 또 대형참사에 대한 수사 권한이 있는 경찰로부터 협조 요청이 들어오면 검찰은 법리 검토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검찰은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뿐만 아니라 중대재해처벌법상 중대시민재해 해당여부까지 들여다보는 중으로 알려졌다.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대검에 "사고 원인에 대한 규명, 검시와 시신 유족 인도가 신속하게 이뤄지도록 철저하게 조치하고, 피해 회복을 위한 법률 지원, 사상자와 유족 지원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지시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