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차세대 원자력발전소의 최대 30조원 규모 폴란드 수출이 가시화됐다. 2009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수주에 이어 13년 만에 한국형 원전 수출에 성공했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폴란드 국유재산부는 31일 서울 중구 더플라자에서 이창양 산업부 장관과 야체크 사신 폴란드 부총리 겸 국유재산부 장관이 참석한 가운데 폴란드 퐁트누프 지역의 원전 개발 계획 수립과 관련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협약서에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폴란드의 민간발전사 제팍(ZEPAK), 폴란드전력공사(PGE)와 추진하는 퐁트누프 프로젝트의 원전 협력을 양국이 지원하고, 주기적으로 정보를 공유하며 협력을 확대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 프로젝트는 한수원, 제팍, PGE 3개사가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서 서쪽으로 240㎞ 떨어진 퐁트누프 지역에 APR1400 기술을 기반으로 한 원전을 짓는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퐁트누프에 가동 중인 석탄화력발전소를 철거하고 원전을 새로 짓는다. 타당성 조사에 약 1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원전 1기당 건설비를 5조∼7조원대로 추산할 경우 전체 수주액은 최소 10조원 이상, 최대치는 30조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앞서 폴란드 정부 주도로 추진되는 6∼9GW(기가와트) 규모 가압경수로 6기 건설 사업은 최근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수주했지만, 민간 주도의 별도 사업은 한수원이 계약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됐다.
사신 부총리는 MOU와 LOI 체결식 이후 진행된 한·폴란드 언론과의 기자 간담회에서 해당 사업에 대한 한수원의 본계약 체결 가능성을 묻자 "100%"라고 답했다.
또 폴란드 정부 주도의 원전 6기 사업이 2026년 착공을 목표로 추진되는 만큼, 병렬적으로 추진되는 민간 주도의 원전 사업도 이와 비슷한 속도로 진행될 것으로 산업부는 내다보고 있다.
윤 대통령은 지난 6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정상회의에 참석해 APR1400의 우수성과 안정성을 소개하며 수출 노력을 전개했고, 폴란드는 8월 협력 의사를 타진해왔다.
박일준 산업부 차관은 "최종 계약 시 지난 8월 이집트 엘다바 프로젝트에 이어 일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는 원전 업계에 활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