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이태원 압사 참사' 당시 서울 용산경찰서장과 서울경찰청 112상황관리관에 대해 "업무 태만이 확인됐다"며 수사를 의뢰했다.
이태원 참사를 수사 중인 경찰청 특별감찰팀은 '대기발령'이 내려진 이임재 서울용산경찰서장(총경)과 류미진 서울경찰청 인사교육과장(사고 당일 상황관리관·총경)을 특별수사본부(특수본)에 수사 의뢰한다고 3일 밝혔다.
경찰은 "서울청 상황관리관은 상황 관리를 총괄해야 하지만 이를 태만히 해서 상황 인지 및 보고가 지연됐다. 용산경찰서장은 사고 현장에 늦게 도착해 지휘·관리를 소홀히 했고 보고도 지연된 사실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참사 당시 지휘부 보고가 늦어진 책임을 물어 총경급 경찰 간부 2명에 대해 본격 수사를 착수한 것이다.
류 총경은 사고 당일 상황관리관으로서 서울경찰청 112 치안종합상황실장을 대리해 서울경찰청장에게 치안 상황을 보고하고, 긴급 상황 발생 시 경찰청 상황실에도 보고하는 역할을 맡은 것으로 전해진다.
경찰 감찰 결과, 류 총경은 치안 상황을 총괄 관리·보고할 의무를 게을리 해 참사를 뒤늦게 파악하고 보고가 늦어진 사실이 확인됐다.
이 총경은 이태원 지역 관할 경찰서장으로서 현장을 총괄할 의무가 있는데도, 뒤늦게 현장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현장 지휘·관리를 소홀히 하고 보고도 늦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 총경은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에게 참사 발생 1시간19분 뒤인 오후 11시 34분 처음 전화 보고를 시도했다.
김 청장은 이 전화를 받지 못했고, 2분 뒤인 11시36분에 전화를 되걸어 참사를 처음 인지했다. 사고 발생 1시간21분 만이다.
한편 경찰은 특별수사본부와 특별감찰팀을 동시에 운영해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고 있다.
501명 규모의 특별수사본부는 참사 원인 규명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특별감찰팀은 현장 출동과 대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경위에 대해 집중 감찰을 벌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한 총리 탄핵 기각에 "국민이 납득할지 모르겠다"
전한길 "쓰레기"라 한 친구는 '조국 수호대'
민주당, 韓 복귀 하루만에 재탄핵?…"마은혁 임명 안하면 파면"
'국회의원 총사퇴·재선거' 제안한 이언주…與, 릴레이 지지
반려동물 난치성 장질환 관리 '청신호'…경북대 교수팀 국내최초 FMT제품화 성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