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태원 참사 당일 '사람 죽고있다' 울부짖던 경찰관 "단순 시비 신고로 출동"

"동료 2명과 함께 현장 출동"

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 현장에서 경찰관이 시민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 유튜브 채널
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 현장에서 경찰관이 시민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 유튜브 채널 '니꼬라지TV' 캡처

'이태원 압사 참사' 당시 현장 인근에서 통행 정리를 위해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공개됐던 경찰관이 "현장 출동은 단순 시비 신고로 출동했고, 현장 도착 전까지 사고 사실을 몰랐다"고 밝혔다.

서울 용산경찰서 이태원파출소 소속 김백겸 경사는 사고 당시 '사람이 죽고 있어요', '도와주세요 제발'이라 외치며 인파를 통제하려고 울부짖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퍼지면서 '진정한 영웅'이라는 반응이 이어진 바 있다.

김 경사는 3일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와의 인터뷰에서 '어떤 신고로 현장에 출동했는지'를 묻는 질문에 "단순 시비가 발생했다고 신고를 받고 여성 경찰관 1명, 남성 경찰관 1명 등 총 3명이 현장으로 출동했다"며 "현장에 갈 때만 해도 참사에 대해 전혀 모르고 있었다"고 전했다.

김 경사는 "도착해보니 많은 사람이 현장을 휴대폰 카메라로 촬영하고 있었다. 그때까지만 해도 무슨 일이 발생했는지 몰랐고 사람들 비명 소리와 웅성대는 소리가 들려서 '무슨 일이 났구나'라는 생각에 인파를 뚫고 들어갔다"고 말했다.

이어 "인파를 뚫고 들어가보니 여러 사람들이 인파에 눌려 손을 뻗어서 도움을 요청하고 있었다. 그 현장에서는 이미 시민 분들께도 구조 활동도 하고 있었다"며 긴박했던 사고 상황을 전했다.

김 경사는 "저희 인력으로는 충분히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판단을 해서 바로 옆에 있던 (동료) 경찰관이 즉시 무전으로 인근 경찰관들에 도움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김 경사에 따르면 인파로 인해 밑에 깔렸던 사람들에게 하중이 실리고 있었다.

그는 "더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인파들을 해산시키기 위해 다른 동료 남성 경찰관과 함께 해밀톤 호텔 뒷골목으로 뛰어갔다"며 "그 때 저희 요청에 따라서 많은 시민들이 지시한 방향으로 이동해 참사 현장의 앞 부분이 아닌 뒷 부분에서도 구조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됐다"고 설명했다.

김 경사는 또 "많은 분이 돌아가신 점에 대해 너무나도 비참하고 유족께 다시 한번 죄송하다"고 심정을 밝혔다.

그는 "누군가가 촬영한 영상으로 제 모습만 퍼졌지만 현장에서는 이태원 파출소뿐만 아니라 용산경찰서 전 직원들이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해 피땀을 흘렸고 소방, 구급대원, 인근에 있었던 시민 등 모든 사람이 많은 도움을 주셨다"고 했다.

이어 "누구 하나 빠짐없이 노력해서 구조활동을 펼쳤지만 많은 분이 돌아가셔 너무나도 비참하고 유족분들께 정말 죄송하고 면목이 없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