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6시간 지나서야 대책회의"…이태원 참사 당일 서울청 간부 늑장출근

이태원 참사 발생 당일 경찰 지휘 공백 의혹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4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의 모습. 연합뉴스
이태원 참사 발생 당일 경찰 지휘 공백 의혹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4일 오후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경찰청 주요 간부들이 이태원 참사 사고가 발생한 지 약 3시간이 지나서야 청사로 출근한 사실이 전해졌다.

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서울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지휘부 출입 기록' 문건에 따르면 서울청 간부들은 사고 발생 후 3시간에서 최대 5시간 30여 분 후 청사로 출근했다.

35일 경찰 등에 따르면 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은 참사 발생 전인 지난 29일 오후 1시 2분쯤 청사로 출근했다. 김 청장은 출근 후 도심 집회 상황 관리를 지휘하다가 오후 8시 36분경 퇴근했다. 김 청장은 이태원 참사 후인 오후 11시 34분쯤 이임재 전 용산경찰청장의 전화를 세 차례 받지 못했고, 2분 뒤 네 번째 전화를 받고서야 사고 상황을 인지했다.

이후 택시를 통해 30일 오전 0시 11분쯤 한강진역에 도착한 김 청장은 이후 도보로 이태원파출소까지 이동했다. 김 청장이 참사 현장에 도착한 것은 사고가 발생한 지 2시간 넘게 지난 오전 0시 25분이었다. 이후 김 청장이 이태원 참사 관련 대책 회의를 소집한 것도 30일 오전 4시 50분쯤으로 사고가 발생한 지 6시간이 넘게 지난 시점이었다.

이 외에 공공안전 차장은 30일 오전 1시 25분경, 경비부장은 오전 1시 28분경에 출근했다.

서울청 주요 간부들의 참사 후 청사 출입 기록을 보면 수사차장 오전 0시 58분, 교통지도부장 오전 1시 14분, 정보외사부장 오전 1시 22분, 경무부장 오전 1시 33분, 안보수사부장 오전 1시 57분, 생활안전부장 오전 2시 20분(이태원 현장), 수사부장 오전 2시 45분, 자치경찰차장 오전 3시 51분 순이었다.

천 의원은 "서울경찰청의 총체적 부실 대응이 이태원 참사 피해를 키운 원인"이라면서 "지휘부의 공직 기강이 완전히 무너진 것으로 보인다"라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