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찰·소방·구청장 모두 수사 선상…이태원 참사 책임 수사 속도

경찰 지휘부, 서울시, 행정안전부 등 확대 가능성
'정보보고서 삭제 회유 의혹' 용산서 정보과장 등 입건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박희영 용산구청장·최성범 용산소방서장. 매일신문DB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박희영 용산구청장·최성범 용산소방서장. 매일신문DB

이태원 참사의 책임을 묻는 경찰 수사가 본격화되고 있다. 용산경찰서장, 용산소방서장, 용산구청장 등이 일제히 수사선상에 올랐다. 경찰 지휘부를 비롯해 서울시, 행정안전부 등으로 수사가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태원 참사를 수사 중인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는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과 박희영 용산구청장, 최성범 용산소방서장을 업무상 과실치상 등 혐의로 수사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참사 당일인 지난달 29일 서울경찰청 상황관리관으로 근무한 류미진 총경도 같은 혐의로 입건됐다.

이 전 서장은 현장에 늦게 도착하고, 보고도 늦었다는 점에서 직무유기 혐의가 추가됐다. 특수본은 이 전 서장이 사고 발생 직후 현장에 도착했다는 상황보고서를 작성한 상황실 직원도 소환 조사할 방침이다.

특수본은 박 구청장에 대해서는 이태원 일대 인파 밀집이 예견 가능했는지, 사고를 막기 위해 어떤 대책을 세웠는지, 사고 발생 이후 각 부서별 공무원을 어떻게 배치했는지 등을 수사할 계획이다.

최 소방서장의 경우 참사 발생 당시 경찰과 공동대응 요청을 주고받고 현장에 출동하는 과정에서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한 정황 등이 경찰에 포착됐다.

특수본은 행정안전부와 서울시의 법령상 책무와 역할에 대해서도 법리적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윤희근 경찰청장과 김광호 서울경찰청장 등 경찰 지휘부 역시 사전대비와 사고 당시 조치를 적절히 했는지 확인하겠다고 덧붙였다.

안전을 우려한 용산경찰서 정보보고서가 삭제됐다는 의혹도 수사 대상이다. 용산서 정보관들은 핼러윈을 앞두고 이태원에 대규모가 인파가 몰려 안전사고가 우려된다며 추가 인력배치가 필요하다는 보고서를 다수 작성했다. 하지만 참사 이후 용산서 정보과장을 비롯한 간부들이 해당 보고서가 작성된 사실을 숨기려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특수본은 경찰 첩보관리시스템에 등록된 보고서는 내부 정보관리 규정에 따라 72시간 안에 삭제되지만 보고서를 작성한 정보관의 업무용 PC에서도 파일이 삭제되는 과정에서 회유가 있었다고 보고 용산서 정보과장과 계장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증거인멸·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입건했다.

특수본은 각종 매뉴얼, 녹취 파일, 휴대폰 등 모두 7천134점을 압수해 분석하고 있다. 인근 CCTV 영상 57개와 SNS 영상 등 78개, 제보 영상 22개 등 총 157개 영상도 1차 분석을 마쳤다. 특수본은 영상 자료 등을 토대로 시간대별 군집도 변화 등 위험도를 파악 중이라고 설명했다.

특수본은 이날 경찰청 특별감찰팀으로부터 박성민 서울경찰청 공공안녕정보외사부장에 대한 수사의뢰를 받았지만 아직 범죄 혐의를 특정해 입건하지는 않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