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산자부, 광산 사고 재발 방지 나서…연내 민관 합동 35개 광산 특별 점검

최근 3년간 중대재해 발생한 사업장 대상
내년 상반기 내 290여 개 광산 점검 추가

7일 오후 경북 봉화군 광산붕괴사고 현장 인근에서 경찰 과학수사 관계자들이 광산붕괴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7일 오후 경북 봉화군 광산붕괴사고 현장 인근에서 경찰 과학수사 관계자들이 광산붕괴사고 원인 규명을 위한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는 경북 봉화군 아연 채굴 광산 사고와 비슷한 사고를 사전 예방하기 위해 최근 3년간 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업장 35개를 대상으로 특별 점검에 나선다.

산자부는 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4개 광산안전사무소, 한국광해광업공단, 광업협회, 광산안전위원회와 '광산안전 현황 점검 회의'를 열고 최근 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는 광산들을 대상으로 우선 점검할 것을 요청했다고 10일 밝혔다.

4개 지역 광산안전사무소장들은 관할 지역의 광산 안전점검 실태를 보고하고 국내 가행(광물을 캐는 작업 중인) 광산 325개 중 과거 3년간 중상, 사망 등 중대재해가 발생한 35개 광산을 우선 대상으로 연내 '민관 합동 특별 광산 안전 점검'에 나서기로 했다.

민관 합동 점검단은 갱내에서 채굴하는 광산과 지표면에 노출된 노천 광산의 재해 유형별 특성을 고려해 맞춤형 안전 점검을 추진할 계획이다.

긴급 점검에서 제외된 290여 개 가행 광산은 광산안전사무소별 계획을 수립해 내년 상반기까지 점검을 완료하기로 했다.

산자부는 국내 광산의 재해 예방을 위한 근본적인 관리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고, 광업협회·광산근로자 간담회 등을 통해 연내 '광산안전관리 강화 종합대책'도 마련하기로 했다.

또 사고 발생 시 구조 현황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조 매뉴얼에 포함하기로 하고 재해 예방과 신속한 구조 활동에 필요한 광산 안전시설, 구조 장비 예산 등을 증액할 계획이다.

관리개선 방안은 ▷구조 매뉴얼을 고도화해 전국 모든 광산에 배포 ▷광산안전사무소 인력 증원 검토 ▷광산안전도 현행화 ▷광산안전시설 예산 확대 등이다.

산자부 관계자는 "광산 안전에 대한 조치는 아무리 과해도 지나치지 않는다"며 "이번 사고를 계기로 광산 안전 관리 체계를 더욱 철저히 점검해 재발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