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찰직협 "이태원 참사 꼬리자르기 수사 시 간과 않겠다"…특수본에 의견서 제출

'이태원 참사' 부실 대응을 수사하는 이태원 사고 특별수사본부(특수본)의 현판이 6일 오전 서울 마포구 경찰청 마포청사 입구에 걸려 있다. 연합뉴스

전국경찰직장협의회(경찰직협)가 '이태원 압사 참사'와 관련 "'꼬리 자르기'식 수사 우려가 현실이 될 경우 절대로 간과하지 않겠다"며 엄정 수사를 당부하는 내용의 의견서를 15일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에 제출했다.

민관기 경찰직협 위원장은 이날 의견서를 제출하며 "오직 법과 원칙에 따른 엄정하고 철저한 수사를 통해 한 점 의혹이 남지 않도록 진상을 밝혀야 한다. 관련 기관과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상응한 책임을 반드시 물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경찰의 현장 대응·상황관리·보고체계와 관련된 의혹은 물론 재난 및 안전관리 체제, 재난의 예방·대비·대응·복구 등 전 과정에서의 책임 소재를 명백히 규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안이한 판단이 참사를 불러왔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다"며 "명명백백한 진상 확인이 국가 재난 안전 관리 체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출발점"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비경제부처 부별 심사에 출석해 "일부 언론이나 야당에서 '꼬리 자르기'라고 하는데 전혀 아니다"라며 특수본 수사가 현장 경찰·소방관에 집중돼 있다는 일각의 지적을 일축했다.

이 장관은 "앞으로 수사 진행 방향을 보면 알겠지만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책임 있는 사람은 책임져야 하고 진실 규명에 협조해야 한다"며 "당시 고생했던 분들이 1차 수사 대상이 된 것은 진상 파악을 위해서이지 이분들을 다 처벌하려는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참사 책임 차원에서 윤석열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한 적이 있느냐'는 주철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는 "제가 직접 말씀드리기는 곤란하다"고 답했다.

이 장관은 '자신의 책임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전용기 의원의 물음에는 "법적 책임과 도의적 책임, 정치적 책임이 있을 수 있다"면서 "그것은 수사기관에서 현재 수사하고 있으니 밝혀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무직은 그 자체가 항상 사표를 가지고 다니는 자리"라며 "저는 책임이 없다고 말한 적이 없다. 책임을 회피한다는 식의 오해는 이제 더 안 해줬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