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기업들의 재고 자산 규모가 크게 늘었다. 경기 침체 탓에 수출이 줄어든 탓이다. 올해 3분기 기준 재고 자산은 작년 말보다 36%가량 증가했다.
22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매출 기준 상위 500대 기업 가운데 재고 자산을 공시한 195개 기업의 재고 자산 변동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의 3분기 말 기준 재고자산은 165조4천43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말(121조4천922억원)보다 36.2%(43조9천510억원) 증가한 것이다.
특히 상품보다 제품과 반제품 재고 증가세가 가팔랐는데, 이는 수출이 줄어드는 것을 방증한다고 리더스인덱스는 설명했다. 상품은 기업이 수입 등을 통해 다른 회사로부터 구매해서 가지고 있는 물품을 말한다. 제품은 기업이 생산한 완성품, 반제품은 추가 가공이 필요한 중간생산품을 뜻한다.
상품 재고 규모는 작년 말 19조9천147억원에서 올해 3분기 말 25조3천334억원으로 27.2%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제품 및 반제품 재고는 101조5천775억원에서 140조1천98억원으로 37.9%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 업종의 재고가 가장 많이 늘었다.
IT·전기전자 업종 19개사의 재고는 작년 말 40조3천613억원에서 올해 3분기 말 58조4천188억원으로 18조575억원(44.7%) 증가했다.
국내 대표 반도체 기업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3분기 말 재고는 각각 36조7천204억원, 3조4천24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각각 작년 말보다 42.6%, 174.7% 증가한 것이다.
석유화학 업종 25개 기업의 재고는 작년 말 20조4천330억원에서 3분기 말 29조7천127억원으로 9조2천797억원(45.4%) 증가했다.
3분기 말 재고 자산 규모는 LG화학 7조5천938억원, SK이노베이션 6조574억원을 기록했다.
자동차 업종 26개 기업의 재고는 작년 말 18조1천534억원에서 3분기 말 22조4천261억원으로 4조2천727억원(23.5%) 증가했다.
현대차의 재고 규모는 6조7천579억원에서 8조4천69억원으로 24.4% 증가했으며 기아차는 5조668억원에서 5조8천387억원으로 15.2% 증가했다.
또 작년 말 대비 재고 증가율이 가장 높은 기업은 포스코에너지(287.5%)였다. 이어 덕양산업(271.5%), 삼성바이오로직스(245.2%), SK하이닉스(174.7%) 등의 순이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