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미시, 화물연대 총파업 앞두고 '부랴부랴' 늦장 대응

화물연대 총파업 하루 앞두고도 협조 필요한 경찰 등과 제대로된 논의 없어
비상대책팀도 구성 안돼... 허울뿐인 매뉴얼 지적
구미시 22일 오후부터 유관기관 협조와 돌발상황 등에 대한 대책 마련 논의

경북 구미시청 전경. 구미시 제공
경북 구미시청 전경. 구미시 제공

구미시가 화물연대 총파업 예고 하루를 앞두고도 경찰 등 유관기관과 협조체계를 제대로 구축하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구미시는 화물연대 총파업에 앞서 위기경보 단계별 대응전략 및 매뉴얼을 만들었지만 24일 총파업 출정식 이후 시 차원의 지원방안이나 돌발상황 등에 대한 대처 준비와 유관기관과의 협조체계가 많이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구미시는 최근 화물연대 요청사항이 해결되지 않아 화물연대 측에서 강경하게 나올 수 있다는 의견을 파악하고 있음에도 24시간 근무에 나서는 경찰 등과 협조체계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화물연대가 각 기업체 입구를 차량으로 막아설 경우 구미시와 경찰이 협력해 대처할 수 있는 방안도 제대로 논의가 되지 않았다.

구미시 육상화물운송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에 '구미경찰서 협조'만 명문화됐을 뿐 구미시가 경찰 등과의 협조 체계 구축을 위한 구체적인 논의를 진행하지 않아 안일하게 대응하고 있다는 말들이 나온다.

물류수송 문제 발생 시 각 기업을 넘어 지역경제에도 타격을 받을 수 있음에도 구미시는 대형견인차, 운전요원, 열쇠복제기술사에 대한 동원체계 구축 등의 부분에 대해 경찰과의 협조도 별도로 진행하지 않았다.

아울러 대응지침 매뉴얼에는 '비상대책상황실' 설치가 명시돼 있지만 상황실이 마련될 장소만 정해졌을 뿐 구성원, 운영방식, 돌발상황 대처, 공식적인 비상연락망 구축 등에 대해서도 준비가 되지 않았다.

경찰도 이번 화물연대 관련해 구미에 집회 신고된 곳만 46곳이고, 화물연대가 강경하게 나올 수 있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 구미시의 적극적인 협조체계 구축을 요청했다.

구미시 관계자는 "화물연대 총파업으로 여러 상황이 생길 수 있는 만큼 시에서도 경찰 등과 협조 체계를 만들어 준비를 철저히 하겠다"며 "자가용화물자동차 일시적 유상운성 허가 대비 및 필요시 허가를 비롯해 비상대책팀 구성 등을 하며 대응 지침을 재점검할 것이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