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작년 육아휴직 4명 중 1명은 아빠…70% 이상이 대기업 종사자

아빠 경우 4만1910명, 2003년 통계 이래 최다
소규모 기업 종사자는 육아휴직 거의 활용 못해

육아휴직 관련 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육아휴직 관련 자료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육아휴직자 4명 중 1명은 아빠가 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아빠 육아휴직자 가운데 70% 이상이 직원수 300명 이상 대기업 직원이었고, 소규모 기업 종사자는 거의 육아휴직을 활용하지 못했다.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21년 육아휴직 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만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대상으로 육아휴직을 시작한 사람은 전년 대비 1.0%(1672명) 증가한 17만3631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아빠는 4만1910명으로 1년 전보다 8.0%(3097명) 증가한 반면, 엄마는 13만1721명으로 1.1%(-1425명) 줄어들었다.

엄마 육아휴직자가 줄어든 것은 지난 2017년 이후 4년 만이다. 아빠의 경우 2003년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은 수준이다.

전체 육아휴직자에서 아빠의 비중도 매년 증가하는 중이다. 지난해에는 24.1%로 전년 대비 1.5%포인트(p) 상승했다.

연령대를 보면 아빠 육아휴직자는 35~39세(41.8%), 엄마 육아휴직자는 30~34세(40.0%)의 비중이 가장 컸다.

아빠의 경우 35~39세(41.8%)와 40세 이상(34.9%)이 76.7%를 차지하고 30세 미만은 3.2%로 가장 낮았다. 4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2%p 상승했고, 35~39세(-1.5%p), 30~34세(-0.5%p), 30세 미만(-0.2%p) 비중은 하락했다.

엄마의 연령별 구성비는 30~34세(40.0%)와 35~39세(35.1%)가 75.1%를 차지하고 30세 미만은 11.1%로 가장 낮았다. 40세 이상(1.1%p)과 30~34세(0.2%p) 비중은 확대됐지만 35~39세(-0.7%p)와 30세 미만(-0.6%p) 비중은 떨어졌다.

육아휴직을 사용한 아빠와 엄마 모두 기업체 규모 300명 이상인 대기업에 소속된 비중이 가장 높았다.

아빠의 71.0%가 종사자 규모 300명 이상인 기업에 소속돼있고, 4명 이하인 기업에 소속된 비중은 3.2%로 적었다. 이외에 50~299명, 5~49명은 각각 14.5%, 10.5%였다.

엄마의 경우 62.4%가 종사자 규모 300명 이상인 기업에 다니고 있었다. 이어 5~49명(18.0%), 50~299명(14.1%), 4명 이하(4.9%) 순이다.

종사 산업별로 보면 아빠의 구성비는 제조업(22.4%), 공공행정·사회보장(21.3%), 전문·과학·기술(10.6%) 순으로 높았다.

엄마는 보건업·사회복지(18.4%), 공공행정·사회보장(16.0%), 교육서비스업(13.3%) 순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