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산 중산지구 ‘초대형 아파트 단지 추진’…주민들 특혜 의혹 제기

1지구 단위계획 변경 통해 1천400가구→3천700가구로 확대
방송시설 부지에도 주상복합 아파트 건립 추진 '빈축'

경북 경산시에 위치한 중산동 아파트 지구 모습. 매일신문DB
경북 경산시에 위치한 중산동 아파트 지구 모습. 매일신문DB
12일 경산시가 마련한 경산 중산1지구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에 대한 주민설명회에서 용역 수행회사 관계자가 주민들에게 설명을 하고 있다. 김진만 기자
12일 경산시가 마련한 경산 중산1지구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에 대한 주민설명회에서 용역 수행회사 관계자가 주민들에게 설명을 하고 있다. 김진만 기자

경북 경산시가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을 추진하는 중산제1지구 시가지조성사업(이하 중산1지구)의 마지막 노른자위 땅인 중산지 주변의 상업업무용지에 대한 개발 계획이 어떻게 결정날지에 지역주민들의 관심이 높다.

시는 12일 중산1지구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안에 대한 주민설명회를 개최하고 주민의견을 청취했다.

이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 안은 현재 중산1지구 개발계획 상 과다한 상업시설 계획에 따라 미개발지로 방치된 토지에 대해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개발계획 및 지구단위계획을 재검토하기 위해 추진되고 있다.

골자는 중산1지구의 마지막 남은 상업업무 용지인 A2-1블록(주상복합)의 주택건설계획을 현재 1천306가구에서 3천443가구(증 2천137가구)로, A2-2블록(주상복합)은 현재 118가구에서 311가구(증 193가구)로 변경하는 안이다.

이같은 변경안에 대해 일부 주민들은 "공동주택 가구 수를 대폭 늘려주는 것은 '대장동 사건'처럼 특혜 의혹을 살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특혜 논란에 대해 경산시와 사업시행사인 아이에스동서 관계자는 "용적률(500%)은 변경되지 않고 평형수를 50평형대 대형아파트에서 40평형대 중형아파트로 줄여 가구수가 늘어났고, 사업시행사가 지구단위계획을 제안해 사업을 추진하는것으로 민관사업인 '대장동 사건'과는 성격이 전혀 다르다"고 일축했다.

이같은 특혜 논란을 해소하기 위해 아이에스동서 측에서는 공공기여 방안으로 중산1지구내 ▷1만㎡의 규모의 광장조성(문화복합공간) ▷광장 하부에 주차대수 300대 규모의 주차장 설치 후 기부채납 ▷9천㎡ 규모의 컨벤션시설 및 부설주차장(100대) 기부채납 ▷중산1지구~성암산을 연결하는 보행육교(총 연장 277m) 설치 등을 제안했다. 소요 사업비는 약 515억원으로 추정된다.

이같은 변경안에 대해 중산1지구 입주민들의 의견을 다양했다.

입주민들의 최대 관심사인 이 지구내 중,고교 설립 문제에 대해 명확하고 구체적인 실천 방안을 제시 할 것과 문서화를 주문했다.

또 이 일대 아파트 가구수가 늘어나면 주차 문제와 인근 도로의 교통체증이 심해지는 만큼 주차공간 확충과 인근 교통소통 문제 해결 등의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또 상방공원 내 민간공원특례사업으로 경산시문화예술회관 건립 계획이 있는데 왜 컨벤션시설을 만들고 보행육교를 설치하는지 공공기여방안을 신중하게 접근하고 재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중산1지구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 청취와 앞으로 경산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지구단위계획 결정(변경)고시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컨벤션시설은 주민들이 원하는 시설로 수정 변경될 수도 있다고 했다.

또 중·고교 신설 문제는 교육부에서 장래 예상 학생수, 인근 학교의 학생수용 여력과 통학거리 등을 종합 검토해 중앙투자심사를 통과해야 가능하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