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산 용성면 주민들 "제2소각장 건설 경산 반대"

"인구 증가 추이 등 감안 제2소각장 건설이 왜 필요한가"…시민 혈세 낭비 주장

경산 용성면 주민들이 18일 경산시청에서 경산시 제2소각장 건설 반대를 주장하며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경산 용성면 주민들이 18일 경산시청에서 경산시 제2소각장 건설 반대를 주장하며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경북 경산시 용성면 일부 주민들이 경산시가 추진 중인 제2소각장 건설에 반대하며 집단행동에 나섰다.

이들은 18일 오후 경산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왜 전국 최초로 시민혈세를 낭비하는 BTO-a(손익공유형)방식의 제2소각장을 SK 대기업과 하청 계약하려 하는가"라며 대기업과의 유착 의혹을 제기했다.

이들은 "경산시에서는 하루 130여t의 쓰레기가 나오고 있다. 현재 가동 중인 1일 100t 규모의 제1소각장 바로 옆에 70t을 처리 용량의 제2소각장을 건설하면 쓰레기 발생량 보다 소각장 처리 규모가 크다. 이럴 경우 일정액의 이익을 BTO-a에 참여하는 민간업체에 보장해 줘야 하기 때문에 결국 시민혈세가 낭비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더불어 "현재 가동 중인 소각장도 2020년 시 인구 40만명을 예상해 건설된 것이다. 현재 28만명 인구가 되지 않는 경산시 인구증가 추이를 고려할 때 제2소각장 건설이 왜 필요한가"라고 문제 제기를 했다.

또 "용성에 제1소각장에 이어 제2소각장이 들어서면 용성의 농업과 청정환경도 파괴될 것"이라며 "2소각장 건설을 강행하면 이장협의회를 비롯 용성면 단체들이 강력한 반대투쟁을 전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는 2015년부터 하루 100t 처리 규모의 용성 제1소각장을 운영하고 있지만 처리에 한계를 보여 1일 70t을 처리 할 수 제2소각장 건설을 추진 중이다. 오는 3~4월 착공해 2년여의 공사와 시험가동을 거쳐 정상 가동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1일 200t의 정도의 생활 폐기물이 발생하고 있고, 현재의 제1소각장에서 80~85t, 매립장에서 60~70t을 처리하고 나머지는 보관했다가 처리한다"면서 "제1소각장에서 처리 용량이 한계를 보여 증설이 필요하다. 특히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는 대임지구와 경산지식산업지구 등 생활 폐기물의 수요 증가에 대비해 제2소각장 건설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