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북대는 잇따른 교수 채용 비리 의혹으로 홍역을 치렀다. 지역거점국립대에서는 당연시되던 투명성과 공정성이었으나 시쳇말로 역대급 채용 비리 의혹이 불거졌고 일부는 실체가 드러나 관련자들이 사법 처리되기도 했다. 1천 명이 넘는 교수들 중 일부의 일탈로 보는 시각도 존재한다. 그러나 대학 자율성이라는 대의를 존중한 대가치고는 치러야 할 치욕이 컸다고 보는 게 합리적이다. 무엇보다 지역의 중심이라는 상아탑에서 버젓이 벌어진 사건에 지역민들의 시선은 급속히 얼어붙었다.
경북대에선 크게 ▷국악학과 ▷음악학과 ▷국어국문학과 ▷사학과 등 모두 4개 과에서 교수 채용과 관련한 잡음이 있었다. 특히 국악학과의 경우 신규 교수 채용 당시 현직 교수의 제자가 채용에 유리하도록 심사 기준을 변경해 채용 절차를 진행한 혐의였다. 학과장 등 전·현직 교수 3명이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기소돼 재판을 받았다. 대구지법은 지난해 11월 교수 두 명에게는 징역 10개월과 집행유예 2년을, 나머지 한 명에게는 벌금 700만원을 각각 선고했다.
법원은 "피고인들은 국립대 공개채용 과정에서 여러 부정행위를 해 공정한 경쟁의 기회를 가로막고, 국립대의 신뢰를 저버렸다. 17명의 지원자가 깊은 배신감과 좌절감을 느꼈을 것"이라고 판결문에 적시했다. 현직 교수이자 심사위원인 자신들의 직위를 이용해 교수 채용이라는 공적인 업무를 방해했다고 판단한 것이다.
국악학과의 채용 비리에는 시정의 기회가 여러 차례 있었다는 점에서 실망감도, 아쉬움도 크다. 거문고와 대금 등 전담 교수가 없는 악기가 여럿 있음에도 이미 전공 교수가 있는 가야금 분야에서 새로 교수를 뽑기로 했다는 점, 실기 시험 범위가 특정 후보자의 최근 연주회 곡과 너무 비슷하다는 점 등 누가 봐도 납득이 어려운 이유가 넘쳐났다.
그럼에도 학과 자율성 존중이라는 구호에 파묻혔다. 각종 의혹에도 심사위원이었던 국악학과 교수들은 채용 절차를 강행했고 결국 전대미문의 압수수색에 이어 실형 선고라는 사달로 끝을 맺었다. 채점 기준표 작성부터 학과, 예술대학, 대학본부 심사 등 여러 단계의 과정이 거름장치 역할을 할 수 있었음에도 학과 자율성이라는 명목하에 묵살됐다.
음악학과에서도 채용 비리 의혹이 불거져 경찰이 수사를 벌이고 있다는 사실이 지난해 10월 국정감사에서 드러났다. 당시 강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해당 음악학과에 자료 제출을 요청했지만, 경찰 내사가 진행 중이라는 이유로 제출을 거부했다"고 했다. 국어국문학과와 사학과에서는 역으로 채용 비리 의혹을 제기한 교수들이 징계를 받았다. 해당 학과 교수들은 징계를 받은 뒤 소청 심사위를 통해 징계를 취소하거나 감경하라는 처분을 받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