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장애인 자립 돕는 '탈시설 장애인 지원' 대상자 2배 확대

'탈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지원사업' 대상자 40명으로 확대
'대구형 융복합 돌봄 체계' 구축해 새로운 탈시설 모델로 개발

지난해 4월 열린
지난해 4월 열린 '제1회 탈시설장애인 당사자대회'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시가 시범 사업 중인 '탈시설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지원사업'이 지난해보다 두 배 이상 확대된다.

이 사업은 시설에 거주하는 장애인들의 주거 결정권을 보장하고 지역 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골자다. 지난해 3월 보건복지부 공모 사업으로 선정됐으며 내년까지 3년 동안 추진된다.

시는 지난해 6월 (사)장애인지역공동체를 사업 수행기관으로 선정한 데 이어 LH 대구경북본부와 대구도시개발공사를 통해 자립생활주택 10가구를 확보했다. 확보한 주택에는 개·보수 및 가구 구입비 등을 지원해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 환경을 마련했다.

(사)장애인지역공동체는 전담 인력과 함께 시범사업 홍보 및 자립 관련 정보 제공, 자립 욕구 조사 등을 거쳐 자립 희망자 20명을 발굴했다.

이들에게는 일자리 활동과 일상 생활 지원, 사회 참여 활동 등 다양한 공공·민간서비스를 연계해 안정된 자립 활동을 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시에 따르면 현재 장애인 6명이 자립생활주택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올해 상반기 중으로 14명이 자립에 나설 예정이다.

시는 올해 시범사업 참여 인원을 지난해보다 두 배 늘어난 40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자립생활주택 10가구를 추가 확보하기로 했다.

특히 시범 사업과 연계한 '대구형 융복합 돌봄체계' 구축도 추진한다.

이 체계는 새로운 탈시설 모델로 ▷자립생활주택 및 활동지원 서비스 24시간 제공 ▷낮생활돌봄센터 운영 ▷경제적 자립기반 지원 ▷맞춤형 의료 서비스 등 개인별 맞춤형 융복합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게 특징이다.

시는 올 상반기까지 '(가칭)장애인 탈시설 지원센터'를 설치해 장애인의 주거, 소득, 건강, 일자리 연계 등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도록 맞춤형 융·복합 돌봄서비스를 지원할 계획이다.

정의관 대구시 복지국장은 "장애인이 스스로 자신의 삶을 선택하고 결정하며 지역사회에서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따뜻한 지역공동체를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