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30 비혼 이유?…"내집 마련 어려운데, 스드메·축의금 회수 결혼식도 부담돼"

복지부 '저출산 대응' 청년간담회서 미혼 청년들 토로

결혼 관련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결혼 관련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0.78명으로 역대 최저를 기록한 가운데 20~30대 청년들은 '결혼하지 않는 이유'로 자산을 쌓고 안정적인 주거와 일자리를 만들기 어려운 구조를 꼽았다.

보건복지부는 4일 오후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서울교육센터에서 복지부 2030 청년자문단 15명과 함께 '저출산 대응 2030 청년 긴급 간담회'를 비공개로 열었다.

이 자리에서 20∼30대 미혼 청년들은 '왜 결혼하지 않는지'에 대한 질문에 주로 자산 형성과 대출, 안정적인 주거 마련이 어렵다는 점을 꼽았다고 복지부는 전했다.

또 예식장과 '스드메'(스튜디오 촬영·드레스·메이크업의 줄임말) 등 결혼 비용과 부모님이 낸 축의금의 회수하는 의미가 강한 결혼 문화가 부담스럽고 결혼은 곧 출산이라는 압박도 결혼을 꺼리게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청년들은 결혼식 문화는 물론 동거나 혼외출산에 대한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으며, 혼인 관계의 여성에게만 집중된 난임 지원 등이 미혼여성이나 남성에게도 확대돼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양육 비용 부담 경감을 위한 현금 지원 확대와 더불어 가족들과 함께 할 수 있는 시간과 여유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청년들은 "결혼과 출산 등에 대한 부정적인 내용을 접할 때마다 미래 전망에 대한 걱정이나 불안감이 더욱 커진다"면서 "자립, 연애와 결혼, 임신·출산, 양육 등의 과정에서 정부정책과 지원내용을 잘 알릴 필요가 있다"고 했다.

또한, 결혼의 행복이나 육아의 기쁨과 같은 내용을 정부 주도의 캠페인이 아닌 일상 속으로 스며드는 형태의 교육과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이기일 차관은 "정부는 0명대의 합계출산율이 지속되는 현 상황에 대해 큰 위기의식을 갖고 준비해 나가겠다"며 "청년들의 제안을 충분히 검토해 보다 청년들에게 필요한 정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