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석 코로나19 특별대응단장 겸 국가 감염병 위기대응 자문위원장은 13일 대중교통 내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가 권고로 전환하는 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 위원장은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 공간 중 대중교통에서 의무를 해제하고 권고로 돌리는 방안에 대해 대부분 자문위원들이 찬성하는 의견을 보였다"며 "대중교통 내에서 마스크 착용 의무가 사라져도 큰 어려움은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현재 마스크 착용 의무가 남아있는 곳은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과 의료기관·약국 등이다.
앞서 정부는 대중교통에서의 마스크 착용 의무를 먼저 해제하는 것에 대해 자문위에 의견을 구했고, 자문위는 지난 7일 긍정적인 의견을 전달했다. 중대본은 오는 15일 자문위 의견을 바탕으로 대중교통 내 마스크 해제 시점을 발표할 계획이다.
정 위원장은 대중교통 내 마스크 의무가 해제되더라도 고위험군 등은 팬데믹이 끝나고 일반의료체계로 전환될 때까지 마스크를 적극 착용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날 브리핑에서 정 위원장은 팍스로비드, 라게브리오 등 코로나19 항바이러스제 처방과 복용의 중요성도 재차 강조하며, 코로나19 먹는 치료제 처방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처방 의사에게 인센티브 부여를 검토해 줄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
방역 당국에 따르면 현재 60세 이상 고위험군에 대한 코로나19 먹는 치료제의 처방률은 35%로 정체된 상황이다.
팍스로비드의 경우 병용 금기 약물이 26개로 많아 의료진이 의약품안전사용서비스(DUR)을 통해 환자 상태와 각 성분 확인을 거친 후 처방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정 위원장은 "코로나19 치료제도 독감처럼 망설임 없이 처방되는 관행이 정착되길 바란다"며 "먹는 치료제를 처방할 때 수가를 추가적으로 지급하는 방법과, (처방률을) 의료기관평가의 지표로 넣어 처방률이 높은 의료기관과 그렇지 않은 의료기관을 차별화시키는 방법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치료제 복용 시 생명을 구하거나, 큰 고생 없이 코로나19 감염에서 회복할 수 있음에도 처방률이 낮아 안타깝다"며 "정부와 지자체도 지금보다 치료제 처방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