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 도심 속 허파 '도시숲'으로 기후 위기 대응

올해 미세먼지 주요 발생원 등 6곳에 도시숲 조성
1㏊ 도시 숲인 연 평균 이산화탄소 6t 흡수 효과

대구시는 올해 산단 주변과 주요 도로, 철도변 등 6곳에 도시숲을 조성한다. 북구 동암로에 조성된 도시숲. 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올해 산단 주변과 주요 도로, 철도변 등 6곳에 도시숲을 조성한다. 북구 동암로에 조성된 도시숲. 대구시 제공.

대구시가 기후 위기에 대응하고자 미세먼지 발생원 주변과 주요 도로, 철로변 녹지, 유휴지 등에 '기후 대응 도시숲'을 조성한다.

시는 올해 44억원을 들여 연경지구와 동화천 주변, 칠곡1택지 완충녹지, 성서3차지방산업단지, 달성1차일반산업단지, 테크노폴리스 시설녹지 등 6곳에 4.4㏊ 규모의 도시숲을 조성할 계획이다.

앞서 시는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서대구산업단지와 국가산업단지 완충녹지 등 20곳에 154억원을 투입, 44㏊ 규모의 미세먼지 차단 숲을 조성했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1ha의 도시숲(10년생)은 연 평균 6.9톤(t)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 또한 주변 도심보다 기온이 낮고 습도가 높아 미세먼지 농도를 낮추고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최병원 대구시 산림녹지과장은 "기후 완화, 소음 감소, 대기 정화 및 휴식·정서 함양의 효과가 있는 도시숲을 조성해 시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