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구미 등 경상권을 비롯해 충청권·호남권 등 전국의 비수도권 계열사 사업장을 중심으로 10년간 60조1천억원을 투자해 최첨단 반도체·배터리·스마트폰 클러스터 조성에 나선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5일 윤석열 정부의 국가 균형발전 정책 기조에 부응해 대규모 설비투자에 나선 것이다. 지역 산업 생태계의 경쟁력 강화 및 지역 균형 발전이 기대된다.
특히 삼성은 반도체 패키지, 최첨단 디스플레이, 차세대 배터리, 스마트폰, 전기부품, 소재 등 지역별로 특화 사업을 지정해 투자를 집행함으로써 각 지역이 해당 분야에서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삼성은 이 투자 이외에도 지역 기업의 자금, 기술, 인력 등을 입체적으로 지원 육성해 회사와 지역경제가 더불어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상생 모델'을 구현할 방침이다.
삼성 측은 "이번 투자는 지역 풀뿌리 기업과 산업 생태계 경쟁력을 높이고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 지역 산업을 진흥, 지역 균형 발전을 지원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우선 경상권은 글로벌 스마트폰 마더 팩토리, 첨단소재 특화 생산거점 육성, 차세대 MLCC(적층 세라믹 캐피시터) 생산 거점, 고부가가치 선박 생산 거점 등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국내 유일의 삼성 스마트폰 생산기지인 구미 스마트시티(구미사업장)를 '글로벌 스마트폰 마더 팩토리'로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또 경북대 등 지역 대학들과 계약학과를 운영해 지역 IT 인재 양성을 지원하고 대구경북의 고용을 확대하기로 했다.
삼성SDI는 구미를 QD 등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첨단 소재 특화 생산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삼성전기는 부산을 MLCC 특화지역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MLCC는 현재 일본 업체들이 글로벌 시장의 약 60%를 점유하고 있는 시장이다. MLCC는 전자 회로가 안정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전류 흐름을 일정하게 조절하고 부품 간 전자파 간섭을 막아주는 핵심 부품으로, 대부분 전자제품에 들어가 '전자산업의 쌀'로 불리기도 한다.
충청권은 반도체 패키지 특화단지, 첨단 디스플레이 클러스터, 차세대 배터리 마더 팩토리 등을 조성한다. 패키지 분야의 경우 천안, 온양 사업장에 차세대 연구개발 설비를 확대하고 생산량 확대 투자로 진행될 계획이다.
아산 지역에는 기존 삼성디스플레이의 신규 투자가 집행될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중소형 IT기기, TV·디지털 사이니지 등 대형 기기, VR(가상현실) 및 AR(증강현실)을 비롯한 신규 디지털 기기 등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아산에 '디스플레이 종합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삼성SDI는 차세대 배터리 기술 연구 및 양산 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천안에 기존의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 용량이 크고 더욱 안전한 '전고체 배터리' 마더 팩토리 등을 구축할 예정이다.
호남권은 스마트 가전 제품 중심으로 생산량을 확대해 삼성의 미래 가전 사업에서 더욱 큰 역할을 담당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현재 광주사업장에서 생산 중인 가전제품을 프리미엄 스마트 제품 중심으로 확대·재편해 글로벌 스마트 가전 생산 거점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은 지역 투자 외에도 지역 기업을 위해 ▷반도체 생태계 육성 프로그램 ▷기술 및 자금 지원 ▷지역 인재 양성 지원 등을 입체적으로 전개해 지역 산업 부흥에 기여할 계획이다. 추가 상생 프로그램에는 향후 10년 간 3조6천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