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구미 반도체 특화단지'는 물 건너 간 것 아니냐"며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정부가 반도체 특화단지 신청을 마감한 지 불과 보름 만에 '수도권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 계획을 밝혀 '들러리로 전락했다'는 자조마저 나온다.
16일 경북도 내부에선 구미에 유치하려던 반도체 특화단지가 동력을 잃을 지 모른다는 우려가 새어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달 27일까지 신청서를 받은 반도체 특화단지 공모에는 전국 15개 지자체가 뛰어들었다. 조만간 실사를 거쳐 이르면 올 상반기 대상지를 발표할 예정이었다. 비수도권을 우선 고려해 최대 3곳을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전날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발표의 하나로 "경기 용인을 중심으로 300조원을 들여 반도체 산업을 중점 육성한다. 150여 개 소부장기업, 해외 연구개발 기업까지 유치해 시스템 반도체 세계 시장을 선도할 핵심 기지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반도체 메가 클러스터'를 수도권에 설치하면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시작할 수밖에 없다는 게 경북도 입장이다. 반도체 특화단지에 '올인'하려던 구미 등 비수도권 지자체가 수도권의 들러리로 전락했다는 푸념도 나온다.
경북도 한 관계자는 "3개 신규 국가산단을 유치한 건 호재지만, 정부가 수도권에 크게 힘 싣는 마당에 구미에 반도체 특화단지를 유치한들 제 기능을 할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산업부 입장을 들어봐야 정확한 상황을 알 수 있을 것 같다"며 "산업부는 '국가산단과 별개로 간다'고 하니 일단은 그 말을 믿고 계속 유치전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국토부의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과 경북 구미 반도체 특화단지는 각각 국가산단과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사업 성격이 다른 만큼 너무 우려할 필요는 없다는 목소리도 있다.
특히 경북도는 애당초 구미 반도체 특화단지를 "수도권은 반도체 완제품 중심, 구미는 '소재·부품·장비"라는 취지로 신청했다. 인재양성과 산업기반 육성을 통해 완제품에 필요한 우수 소재를 만들려는 만큼, 수도권의 반도체 국가산단은 구미 반도체 특화단지와 함께 갈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경북도는 유치 확정 때까지 지역 정치권·기업과 함께 정부 부처 접촉을 늘리는 등 사업 중요성을 적극적으로 설득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앞서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윤석열 대통령과 산업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획재정부 주요 인사를 만날 때마다 지역 내 반도체 특화단지 필요성을 설득해 왔다. 향후 지역 국회의원 등과 함께 이런 움직임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반도체 특화단지에 '비수도권 우선 고려' 조항이 있는 건 해당 사업에 국가 균형발전 목적이 있기 때문"이라며 "경북 내 반도체 소부장 관련 산업과 인재를 육성해 대기업 투자를 유치하고 일자리도 늘리려는 만큼 예정대로 반도체 특화단지 선정 절차가 마무리되기만 바라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