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 기반 대화형서비스인 챗GPT에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가 주목 받고 있다. 국민 3명 중 1명은 이미 챗GPT를 사용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달 22부터 28일까지 전국 성인 1천16명을 대상으로 챗GPT 사용 후기에 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20일 밝혔다.
챗GPT 사용 경험에 대해 응답자는 '호기심에 한두 번 사용해 봤다'는 응답자가 30.2%, '실효성과 재미를 느껴 자주 사용한다' 5.6%, '한 번도 사용해본 적 없다'가 64.2%를 차지했다.
사용자 세대별로는 서울대 인구학연구실 기준에 따라 나눈 X세대(1975∼1984년생)에서 한 번 이상 사용해봤다는 응답 비율이 42.2%로 가장 높았다. 이어 MZ세대(1985∼2010년생) 40.2%, 베이비부머세대(1955∼1974년) 29.2%였다.
챗GPT 신뢰도에 대해서는 국민 10명 중 9명가량이 결과 내용에 대해 '보통 이상' 신뢰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챗GPT 결과 내용을 신뢰하는지에 대해서는 '보통'이란 응답 비율이 62.1%로 가장 많았다. '신뢰한다(그렇다+매우 그렇다)'는 응답 비율은 27.4%, '신뢰하지 않는다(그렇지 않다+매우 그렇지 않다)'는 응답 비율은 10.5%였다.
세대별로는 베이비부머세대(93.1%), X세대(91.5%), MZ세대(83.4%) 순으로 보통 이상의 신뢰도를 보였다.
챗GPT의 유용한 기능으로는 정보 검색이 50.7%로 큰 비중을 차지했고, 아이디어 확보 15.3%, 작문·대필 11.9%, 코딩 11.3%, 요약 7.9% 순으로 이어졌다.
앞으로 5∼10년 후 국내 산업을 선도할 유망산업에 관한 질문에 MZ세대는 AI·로봇 분야에서 30%로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반도체 19.2%, 이차전지 11.1%, 콘텐츠산업 7.3%, 제약·바이오 6.4% 등 순이었다.
X세대와 베이비부머세대 역시 유망산업으로 AI·로봇, 반도체, 이차전지산업을 꼽았다.
댓글 많은 뉴스
권성동 "김문수, 알량한 후보자리 지키려 회견…한심한 모습"
홍준표, 尹·한덕수 맹공 "김문수 밀어줘 나 떨어트리더니…"
[정진호의 每日來日] 한 민족주의와 두 국가주의, 트럼프 2기의 협상카드는?
'이재명 파기환송심' 대선 이후로 연기…"6월 18일"
한덕수 "김문수, 약속 지켜야…사실 아닌 주장 계속되면 바로잡을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