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민 절반 "결혼 안해도 돼"…1020 절반 이상은 "결혼해도 자녀 필요 없다"

우리나라 국민 절반이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10~20대의 경우 과반이 결혼을 한 뒤에도 자녀를 낳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2019년 서울의 한 대형병원 신생아실. 연합뉴스

우리나라 국민 절반이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특히 10~20대의 경우 과반이 결혼을 한 뒤에도 자녀를 낳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2 한국의 사회지표'에 따르면 지난해 만 13세 이상 인구 중 결혼을 해야 한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중은 50.0%로 집계됐다.

성별로 보면 남자는 여전히 절반 이상(55.8%)이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여자는 44.3%만이 결혼을 해야 한다고 답했다.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사람은 65.3%로 집계됐다.

특히 10대의 경우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사람이 41.1%에 그쳐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비중이 낮았다. 20대도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44.0%에 그쳐 10대 다음으로 낮았고 결혼·출산 적령기인 30대에서도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다고 생각한 사람은 54.7%에 그쳤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8명으로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70년 이래 역대 최저치를 재차 경신했다. 결혼과 출산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는 가운데 여성의 평균 출산 연령도 올라간 영향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2021년 기준 첫째 아이를 출산한 산모의 평균 출산 연령은 32.6세로 집계됐는데, 이는 20년 전인 2000년(27.7세)보다 5살 가까이 올랐다.

40대 초반 산모 비중도 2000년 0.6%에서 2021년 4.4%로 늘었다.

이와 함께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전통적 핵가족 역시 점점 더 줄어드는 추세다. 2021년 기준 가구당 평균 가구원 수는 2.3명으로 2000년 대비 0.83명 감소했다. 1인가구가 전체의 33.4%를 차지해 가장 비중이 컸고 3인 가구는 19.4%, 4인 가구는 14.7%에 그쳤다.

한편 지난해 가구당 평균 자산은 5억4천772만원, 부채는 9천170만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액은 4억5천602만원이었다.

2021년 소득 대비 주택 가격 배율(PIR)의 경우 수도권 기준 10.1배로 역대 최대치를 새로 썼다. 수도권에 집을 사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0년간 모아야 한다는 의미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