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시멘트 공급 대란, 공사 현장은 레미콘 공급 받지 못해 사실상 '셧다운'

시멘트 공급이 안되자 레미콘 운반 차량들이 회사 주차장에 서 있다. 마경대 기자
시멘트 공급이 안되자 레미콘 운반 차량들이 회사 주차장에 서 있다. 마경대 기자

시멘트 수급대란이 본격화되면서 건설현장으로 들어오는 레미콘이 바닥을 보이고 있다. 레미콘업체들은 절박한 심정으로 생산·출하를 강행하고 있지만 평소의 10분의 1도 공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26일 레미콘업체 등에 따르면 충북 단양과 제천 등에서 운영하는 시멘트 생산 7개사가 환경부 규제에 맞추기 위해 최근 일제히 시설 보수에 나서면서부터 시멘트 공급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시멘트 공급이 안되자 레미콘 운반 차량들이 주차장에 서 있다. 마경대 기자
시멘트 공급이 안되자 레미콘 운반 차량들이 주차장에 서 있다. 마경대 기자

한 레미콘 업체 관계자는 "하루 시멘트 벌크차 10대분을 사용하는데 고작 1대밖에 공급받지 못해 레미콘 15대 분량(100㎥)만 생산하고 있다. 시멘트 회사는 시설 보수를 연기하든지 보수 기간을 조정해야 된다"며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교통부 등 범부처 협의를 거쳐 킬른(소성로) 보수 일정을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봉화의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지난 20일부터 콘크리트를 공급받지 못해 공정이 중단된 상태다"며 "레미콘 회사마다 연락을 해보지만 공급을 받을 수가 없다. 공기를 맞추지 못해 결국 지자체에 공사 중지명령을 내려 달라고 부탁했다"고 호소했다.

영주지역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공사업체들은 매일 대책회의를 주재하지만 시멘트 수급부족현상을 타파하는 뾰족한 대책을 찾기 힘들다.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포장공사를 이틀에 나눠 시공하려 했지만 레미콘 공급이 안돼 언제 타설 할지 계획도 못 잡고 있다"며 "레미콘 공급 중단으로 시공팀을 다시 불려야 해 인건비 등 건설비용이 추가로 더 들게 생겼다. 건설업체만 어려움이 가중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충북 단양의 한 시멘트사 관계자는 "정부의 담합 기준 때문에 7개사가 소통하지 못한 상태로 환경부 규제에 맞추기 위해 일제히 시설보수에 나서면서 문제가 발생했다"며 "수요 업계의 사정을 반영하면 일부 조정이 불가피하다. 담합의 규제를 피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에서 협의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대한건설자재직협의회에 따르면 현재 시공능력평가순위 30위권 내 건설사들의 레미콘 수급량은 이달 초 대비 50∼60%까지 떨어졌다. 발주처가 구매 책임을 지는 관급 레미콘도 필요량의 20%를 채우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