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울진 신한울 3, 4호기 주기기 계약이 체결됐다.
윤석열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의 상징인 신한울 3, 4호기가 건설을 본격 재개하면서 국내 원전 산업 생태계의 완전정상화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29일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에 따르면 이날 서울 광화문 포시즌스호텔에서 두산에너빌리티와 2조9천억원 규모의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계약을 체결하고 기자재 제작에 들어간다. 이전에는 계약 검토부터 최종 체결까지 30~37개월가량 걸렸지만, 이번엔 조속한 일감 공급 등을 위해 준비 기간이 8개월로 대폭 줄었다.
이날 계약으로 10년에 걸쳐 2조9천억원 규모의 기자재 제작이 진행되고, 정부는 2천억원 규모의 특별금융 프로그램을 통해 일감이 끊긴 원전 기자재 업체를 지원한다.
발전사인 한수원은 사업 초기 3년간 총계약의 절반에 해당하는 약 1조4천억원을 집행한다. 공급사인 두산에너빌리티는 협력사 상생을 위해 이미 지난달까지 450억원 규모의 일감을 선발주했으며 올해 안에 약 2천100억원의 추가 일감도 발주할 계획이다.
신한울 3,4호기 건설은 올해 상반기 안에 환경영향평가를 끝내고, 이르면 7월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 승인과 후속 부지 정지 공사 착수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또 설계·제작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등 핵심기기가 이번 계약을 시작으로 제작에 착수함으로써 완공 목표 시기인 2032년(3호기)과 2033년(4호기)을 맞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총 사업비만 11조원에 달하는 이 사업은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기조 속에 2017년말 중단됐다가 현 정부가 지난해 7월 공사재개를 결정했다.
원전업계 관계자는 "원전 일감이 늘고 정부의 대출 지원 등으로 탈원전의 어둡고 긴터널에서 조금은 빠져나온 것 같다. 원전생태계 완전 정상화를 위해선 신한울 3,4호기 이후 프로젝트 개발도 지금부터 고민해야 한다. 해외진출 등 안정적인 일감 확보를 위해 정부와 한수원, 관련업계가 모두 힘을 모아야 한다"고 했다.
한편 원전 주기기란 핵분열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원자로, 발생한 열로 증기를 생산하는 증기발생기, 증기로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발전기 등을 말한다.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출 [전문]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