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두환 손자 5·18 사과에 내려진 평가는?…"진정성과 용기있는 태도"

일각에선 전우원 씨 진정성 두고 신중론 가하기도

전직 대통령 고(故) 전두환 씨의 손자 전우원 씨가 31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묘지 내 1묘역 고 김경철 열사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직 대통령 고(故) 전두환 씨의 손자 전우원 씨가 31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묘지 내 1묘역 고 김경철 열사 묘역을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손자 전우원(27) 씨가 광주를 찾아 사과를 표한 가운데 5·18 유족들로부터 "진정성이 느껴지는 용기 있는 태도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전 씨의 진정성에 의문을 갖고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5·18 기념재단 조진태 상임이사는 31일 연합뉴스를 통해 "(전 씨의 사과는) 매우 조심스러우면서도 대단한 용기를 냈다"고 말했다.

조 이사는 "당대에 정리되거나 마무리되지 못한 역사의 고통을 고스란히 그 후세대가 받고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무거웠다"고 했다. 그러면서 "할아버지가 생전에 저지른 만행에 대해 손자가 사죄하는 모습을 보면서 역사는 시간이 흐르며 정당한 평가가 내려질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앞서 이날 전 씨는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방명록에 "저라는 어둠을 빛으로 밝혀주셔서 감사드린다. 민주주의의 진정한 아버지는 여기에 묻혀계신 모든 분들"이라고 남겼다.

또 전 씨는 행방불명자와 문재학 열사, 김경철 열사 묘소를 참배하면서 자신의 옷으로 묘비를 닦고 넋을 위로했다.

전 씨의 사과 행보에 조 이사는 5·18 역사가 전환될 수 있다고도 내다봤다. 조 이사는 "5·18에 잘 알지 못하더라도 우원 씨가 순수한 마음으로 결단한 것으로 보인다. 진상 규명 이후에는 사죄와 용서, 화해와 상생으로 가야 하는데, 우원 씨의 사죄가 하나의 계기, 전환점이 될 수 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날 전 씨의 묘지 참배 안내를 맡았던 김범태 5·18 민주묘지관리사무소 소장도 "우원 씨는 5·18과 무관하고, (사죄)하지 않아도 아무 일 없이 살 수 있는 사람이다"며 "그럼에도 찾아온 건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본인 외투를 벗어 묘비를 닦는 모습을 지켜보며 감정이 복받쳤다. 5·18 책임자들의 다른 손자들도 무엇인가 느끼는 계기가 됐을 것"이라고 했다.

5·18로 가족을 잃은 '오월 어머니'들도 전 씨의 손을 잡고 "와줘서 고맙다"는 심정을 전달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전 씨의 진정성을 두고 신중론을 보이기도 한다. 광주전남추모연대는 같은 날 논평을 통해 "할아버지가 저지른 범죄에 대해 사죄하고 싶다면 오늘 행보에 그치지 않고, 이후에도 전두환이 저지른 범죄에 관심 갖고 진정성 있는 행보를 이어가길 부탁한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