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전 대통령의 손자 전우원(27) 씨가 광주를 찾아 사과를 표한 가운데 5·18 유족들로부터 "진정성이 느껴지는 용기 있는 태도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전 씨의 진정성에 의문을 갖고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나온다.
5·18 기념재단 조진태 상임이사는 31일 연합뉴스를 통해 "(전 씨의 사과는) 매우 조심스러우면서도 대단한 용기를 냈다"고 말했다.
조 이사는 "당대에 정리되거나 마무리되지 못한 역사의 고통을 고스란히 그 후세대가 받고 있다는 생각에 마음이 무거웠다"고 했다. 그러면서 "할아버지가 생전에 저지른 만행에 대해 손자가 사죄하는 모습을 보면서 역사는 시간이 흐르며 정당한 평가가 내려질 수밖에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앞서 이날 전 씨는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방명록에 "저라는 어둠을 빛으로 밝혀주셔서 감사드린다. 민주주의의 진정한 아버지는 여기에 묻혀계신 모든 분들"이라고 남겼다.
또 전 씨는 행방불명자와 문재학 열사, 김경철 열사 묘소를 참배하면서 자신의 옷으로 묘비를 닦고 넋을 위로했다.
전 씨의 사과 행보에 조 이사는 5·18 역사가 전환될 수 있다고도 내다봤다. 조 이사는 "5·18에 잘 알지 못하더라도 우원 씨가 순수한 마음으로 결단한 것으로 보인다. 진상 규명 이후에는 사죄와 용서, 화해와 상생으로 가야 하는데, 우원 씨의 사죄가 하나의 계기, 전환점이 될 수 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날 전 씨의 묘지 참배 안내를 맡았던 김범태 5·18 민주묘지관리사무소 소장도 "우원 씨는 5·18과 무관하고, (사죄)하지 않아도 아무 일 없이 살 수 있는 사람이다"며 "그럼에도 찾아온 건 특별한 의미가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본인 외투를 벗어 묘비를 닦는 모습을 지켜보며 감정이 복받쳤다. 5·18 책임자들의 다른 손자들도 무엇인가 느끼는 계기가 됐을 것"이라고 했다.
5·18로 가족을 잃은 '오월 어머니'들도 전 씨의 손을 잡고 "와줘서 고맙다"는 심정을 전달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전 씨의 진정성을 두고 신중론을 보이기도 한다. 광주전남추모연대는 같은 날 논평을 통해 "할아버지가 저지른 범죄에 대해 사죄하고 싶다면 오늘 행보에 그치지 않고, 이후에도 전두환이 저지른 범죄에 관심 갖고 진정성 있는 행보를 이어가길 부탁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