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농수산물도매시장 이어 문화예술허브도…소외감 느끼는 북구

북구 주민들 "강력하게 반대의사 드러낼 것"예고

대구 북구 산격동 일대 상공에서 바라본 옛 경북도청 후적지(현 대구시청 산격청사)의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 북구 산격동 일대 상공에서 바라본 옛 경북도청 후적지(현 대구시청 산격청사)의 모습. 매일신문 DB

대구시가 경북도청 후적지에 들어설 예정이었던 국립근대미술관과 국립뮤지컬콤플렉스를 달성군 대구교도소 후적지에 조성하겠다고 밝히자 북구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5일 대구시는 언론 브리핑을 갖고 북구 경북도청 후적지에 건립될 예정이었던 국립근대미술관과 국립뮤지컬콤플렉스 등 문화예술허브를 달성군 대구교도소 후적지에 조성하는 '사업부지 변경'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당초 문화예술허브는 현재 대구시청 산격청사로 쓰이고 있는 경북도청 후적지에 건립될 예정이었다.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과제에도 포함이 됐던 이 사업은 경북도청 후적지 약 12만㎡ 중 3분의 2를 소유한 문화체육관광부가 지난해 12월부터 연구용역을 진행 중이다.

북구청은 대구시가 협의도 없이 갑작스럽게 부지 변경을 발표했다고 반발했다. 도청 후적지에 문화예술허브 등을 유치해 '도심융합특구'로 조성하려는 계획도 무산될 위기다. 도심융합특구란 '도청터-경북대학교-삼성창조캠퍼스'를 하나로 묶어 고밀도 혁신공간으로 조성하는 사업을 말한다.

경기 성남 '판교 제2테크노밸리'처럼 산업·주거·문화가 집적된 우수한 복합 인프라를 갖추기 위해 지난 2020년부터 본격 추진됐다. 하지만 관련 법안이 2년째 국회에 계류되면서 사업 추진 동력이 크게 떨어진 상태다.

북구청 관계자는 "지난 민선 7기 때부터 도청 후적지 개발에 전력을 쏟고 있지만 최근 마땅한 활로를 찾지 못하고 있어 충격은 더 크다"며 "도청 후적지는 대구시청 신청사 이전과도 겹쳐 당장 언제쯤 개발이 가능한 지도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북구 주민들도 대통령 공약 사업을 대구시가 일방적으로 뒤엎었다고 규탄했다. 이성장 북구 주민자치위원장협의회 회장은 "농수산물도매시장에 이어 문화예술허브도 다른 곳으로 옮기는 것은 부당하다"며 "각 동별 자치위원장들과 함께 강력하게 반대의사 표시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대구 북구을)은 "문화예술허브는 동대구역 등과 접근성이 뛰어난 현 부지가 최선"이라며 "갑작스러운 부지 변경으로 문화예술허브가 타 지자체로 옮겨갈까 우려스럽다"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