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6월 팔공산의 국립공원 지정의 마지막 난제가 순조롭게 풀리고 있다. 그간 국립공원 승격을 반대해왔던 주민들이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이 내놓은 사유지 처리안을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9일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에 따른 사유지 처리안 결과를 주민들에게 통보했다. 그동안 사유지 처리 방안에 대한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주민 의견이 제시된 454건 가운데 350건(77.1%)를 주민 의견대로 처리한다고 밝혔다.
주민들이 원하는 사유지 처리안은 공원 부지 해제가 285건(62.77%), 편입이 107건(23.56%) 등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편입 의견은 99.1%(106건) 받아들여졌고, 해제 의견은 64.5%(184건) 반영됐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은 "공원구역의 과도한 파편화를 막기 위해 현지 조사 등을 거쳤다"고 설명했다.
그간 재산권 피해 등을 주장하며 국립공원 승격을 반대해왔던 '팔공산 국립공원 승격 반대위원회'도 통보된 사유지 처리안에 따르겠다는 반응이다. 당초 이날 통보된 결과에 따라 또다시 갈등을 빚을 가능성도 점쳐졌지만 주민들이 요구했던 내용 대부분이 이번 안에 포함된 덕에 걱정은 기우에 그쳤다.
서정기 팔공산국립공원승격반대위원회 회장은 "오늘까지 사유지 처리안에 대해 개별적인 통보가 다 됐고 큰 이견은 없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이를 바탕으로 조만간 주민 총회를 열고 국립공원과 주민들이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민들은 오는 14일 총회를 열고 국립공원 승격 찬성 입장 발표와 반대 현수막 철거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승격 반대위는 이날 총회 결과에 따라 기존에 있던 승격 반대위를 '상생발전위원회'로 변경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오는 6월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 지난 1980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43년 만이다. 1967년 지리산을 시작으로 전국 22곳에 운영 중인 국립공원은 지난 2016년 태백산이 마지막으로 지정된 상태다. 팔공산이 국립공원으로 승격되면 전국 23번째 국립공원이 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