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12일 미국 정보기관의 대통령실 도·감청 의혹을 놓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공방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은 미국의 도·감청 내용에 김성한 전 국가안보실장과 이문희 전 국가안보실 외교비서관 간 대화 내용이 담겼다는 보도를 거론하며 이 전 비서관의 회의 출석을 요구했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정부의 사실 확인이 우선이라고 맞섰다.
김 전 실장은 도·감청 의혹 보도 전 자리에서 물러났고, 외교부 소속 공무원인 이 전 비서관은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민주당 간사인 이재정 의원은 의사진행 발언을 통해 "국가 안보에 문제가 되는 지점이 있다면 비공개회의를 통해서 하겠다고 여당에 말했고, 당사자에게는 보고하러 오라고 했는데도 결국은 상임위가 열린 오늘 오후 (이 전 비서관은) 반차를 썼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이 전 비서관의 출석을 거듭 촉구하며 "도·감청 당사자로부터 대화 내용을 확인하는 것만으로도 미국과 다른 입장을 표명한 대통령실 입장이 사실에 부응하는지 국민이 확인할 수 있는 주요 지점"이라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간사인 김석기 의원(경북 경주시)은 "우리 대통령실에서 명확한 입장 발표를 했는데, 의혹만 가지고 확대재생하겠다고 하면서 관계자 출석을 오늘 당장 요구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김 의원은 "한·미 양국 국방장관이 분명히 해당 문건의 상당수가 위조, 날조됐다고 발표했고, (현 대통령실은) 청와대보다 강화된 도·감청 (방지) 시스템을 구축·운영되고 있다고 발표했다. 김성한 전 실장도 문건 내용이 사실과 다르다고 이야기했다"며 "민주당 간사의 말씀에 강력한 유감을 표시한다"고 맞섰다.

국민의힘 소속 김태호 외교통일위원장과 여야 간사가 협의를 통해 질의 의원 수를 7명으로 제한한 것을 두고도 신경전이 이어졌다.
윤호중 민주당 의원은 "한일정상회담은 줄 것 다 주고 대통령께서 뒤통수 맞고 오셨는데, 한미정상회담은 시작도 하지 않았는데 코뼈가 부러졌다"며 무제한 현안질의를 요구했고, 김경협 의원도 "진실 규명을 하기 싫다는 것인가"라며 거들었다.
이에 김석기 의원은 "여야 간 합의된 대로 운영하자는 것"이라며 "대통령이 일본에 가서 다 퍼주고 뒤통수를 맞고 왔다는 것은 과한 표현"이라고 항의했다.
아울러 "구체적 사실관계가 확인이 안 됐는데 그런 보도를 기정사실화하면서 대통령의 방미를 앞두고 이렇게 정치공세 삼는 나라가 있는가"라고 불쾌감을 나타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