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유입된 황사에 이틀째 전국 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 수준을 기록한 가운데 중국에서 황사 발원지는 중국 외부로 한국이 황사 원인을 중국에 떠넘기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국 관영 언론인 환구시보는 13일 "한국이 몽골고원에서 발원한 모래 폭풍에 휩싸인 뒤, 일부 언론에서 '중국이 발원지인 모래폭풍'이라는 제목의 보도를 내보냈다"고 전했다.
이어 "한국 언론은 '(중국의 황사가) 재난을 일으킨다', '중국에서 유래했다', '지옥같은 지구가 됐다' 등의 선동적인 표현을 썼다"며 "중국 당국은 황사의 발원지가 중국 외부이며, 중국은 단지 황사가 지나가는 '통과역'일 뿐이라고 반복해서 강조했다"고 주장했다.
또 "한국이 악천후에 대한 책임을 중국에 떠넘긴 것은 이번이 아니다"라면서 "2021년 3월 16일 당시 중국에서 발생한 모래폭풍이 한국의 대기질을 심각하게 떨어뜨렸다는 한국 기상청 발표가 있었다. 이에 대해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 기자회견에서 '환경과 대기 오염에는 국경이 없다'고 강조했었다"고 전했다.
당시 중국 외교부 측은 황사 등 대기 오염과 관련해 과학적인 모니터링과 종합적인 분석을 기반으로 원인을 찾아야 하며, 모든 당사국은 건설적이고 과학적인 태도로 관련 문제를 보고 긍정적인 여론을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환구시보는 "중국은 사막화 방지 등의 활동을 중시하며 현저한 성과를 거뒀고, 최근 몇 년 동안 모래와 먼지(황사)가 부는 날씨가 현저하게 감소했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환구시보 주장은 중국 기상청과 현지 전문가 발표와는 차이가 있다.
중국 중앙기상대는 10일 베이징과 함께 신장, 네이멍구, 간쑤, 닝샤, 산시, 허베이, 톈진, 산둥, 허난, 안후이 등 18개 지역이 황사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현지 언론 역시 올해 들어 극심한 황사가 자주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 보도를 잇따라 내놓고 있으며, 중국 국립기후센터는 높은 기온과 건조한 날씨 때문에 최근 5년 동안 황사 발생 건수가 그 이전 5년 평균 건수보다 많았다고 분석하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