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세계 시장 수출 점유율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16일 세계무역기구(WTO)와 한국무역협회(KITA)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수출액 24조 9천 44억 8천 900만 달러 가운데 한국의 수출액은 6천 835억 8천 500만 달러로 2.74%에 불과했다.
한국의 세계 수출 시장 점유율이 2020년 2.90%를 기록한 뒤 이듬해 2.88%로 하락한 뒤 2년 연속 떨어진 것이다.
한국의 세계 수출 시장 점유율은 지난 2014년 3.02%를 기록하며 처음 3%에 진입했다. 이후 한 뒤 2018년(3.09%)까지 5년 연속 3%대를 유지했다. 특히 2017년에는 역대 최고 점유율인 3.23%를 차지하기도 했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 상황을 거치면서 지난해까지 4년 연속 2%대로 내려왔다. 지난해에는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 탓에 2.74%까지 점유율이 떨어지면서 2008년(2.61%)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2018년 시작된 미·중 무역 전쟁 여파로 전 세계적인 자국 중심주의와 보호 무역이 확산한 탓이다. 더욱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이 같은 현상은 심화됐다.
수출 점유율이 0.1%포인트(p) 감소하면 약 14만 개 일자리가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날 정도로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게 무역협회의 예측이다.
한국의 주력 품목인 반도체는 2018년 수출 비중이 20.9%까지 증가했지만,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연속(17.3%→19.4%→19.9%→18.9%) 20%대를 하회하고 있다. 올해 1월~3월에는 비중이 13.6%로 급락했다.
이같은 수출 위기는 외적인 요인도 있지만, 내부 요인이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조상현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떨어지는 기저에는 그만큼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화가 이미 많이 진전된 이유도 있다"면서도 "그간 메모리반도체 호황에 안주하며 수출 주력 업종 변화에 소홀해 수출 산업의 경쟁력과 역동성이 뒷걸음질 친 측면이 있다"고 진단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