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계명대, 70여 지역기업과 손잡고 ‘미래모빌리티 산업 인재 양성’ 에 총력

에스엘, 경창산업 등 70여 개 지역 기업들과 산학협력협정 체결
기업수요에 맞는 교육과정 개설, 지역 정주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

계명대가 지역 70여 기업체들과 손잡고 미래모빌리티 산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갈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협정을 체결했다. 계명대 제공
계명대가 지역 70여 기업체들과 손잡고 미래모빌리티 산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갈 인재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협정을 체결했다. 계명대 제공

계명대학교(총장 신일희)가 대구시 5대 신산업과 연계해 미래모빌리티 산업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갈 인재 양성에 모든 힘을 쏟기로 했다. 계명대는 21일 오후 2시 성서캠퍼스 의양관 운제실에서 대구시와 관련 기관을 비롯해 에스엘, 경창산업 등 지역 기업 70여 곳과 함께 '대구 미래모빌리티 산업 지역 정주형 인재 양성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들은 ▷미래모빌리티 산학연 연계 교육과정 운영 ▷미래모빌리티 산학 공동 연구 및 기술개발 ▷미래모빌리티 재직자 교육 등 기업 지원 ▷미래모빌리티 인프라 및 장비 공유 등을 약속했다. 지역 미래모빌리티 산업 분야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대구시와 대학, 기업 간의 협력 체계 구축은 물론 지역 정주 인재를 육성해 지역 자원의 통합을 이루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런 흐름은 최근 세계 자동차 시장의 변화와 관련이 깊다. 자동차 시장이 친환경 모드로 급변하고 있고, 미국 및 유럽 국가들은 정책적으로 내연기관 개발을 축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구시가 지역의 자동차 부품회사를 비롯한 관련 기업들의 인프라를 활용해 미래모빌리티 산업으로의 혁신적 전환을 추진하는 배경이기도 하다.

계명대는 향후 미래모빌리티 산업 발전의 중요 축으로 기능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신설한다는 방침이다. '대구 미래모빌리티 산업 스마트 인재 양성 교육의 요람'을 비전으로 내세웠다. 체계적이고 힘 있는 산학 연계 미래모빌리티 교육과정 운영으로 '지역 성장'과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정주 인재'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심산이다.

우선 '지역 성장'을 위한 전문 인재 300명 양성을 목표로 ▷IEV 기반 미래모빌리티 교육과정 ▷전기추진체 특화 과정 ▷제조혁신 특화 과정 ▷교육 환경 혁신 ▷산업체 디지털 전환 교육 지원 등에 중점을 두는 한편, '정주 인재' 확보를 위해 ▷대구 기업 수요 기술 기반 교육과정 운영 ▷지역 기업으로 취업을 촉진하기 위한 '대구로' 교육 ▷우수 유학생 지역 정착 지원 등을 핵심 과제로 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참여 기업들과 참여 학과 교수진으로 구성된 '교육과정 운영위원회'를 구성한 뒤, 수요 조사와 분석을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해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타 대학 학생 및 교원이 참여하는 개방형 오픈캠퍼스도 함께 운영할 방침이다.

신일희 계명대 총장은 "미래모빌리티 산업은 자동차에 국한된 산업이 아닌, 모든 산업이 집약돼 있는 기술과 문화가 결합된 형태의 확장된 개념으로 인식하고 지방자치단체와 기관, 기업, 대학 등이 힘을 합친다면 발전 가능성은 무궁무진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계명대는 지역이 필요로 하는 인재, 지역에서 일하고 싶어 하는 인재를 육성하는 데 역할을 다하고 지역과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는 대학이 되기 위해 모든 역량을 다 쏟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