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학령인구 급감에 따라 2027년까지 초·중·고교 신규 교원 선발 규모를 지금보다 최대 30%까지 줄인다.
소규모 학교가 많은 농·산·어촌 지역과 과밀학급이 많은 신도시에는 특성에 맞게 교원을 배치하고, 디지털교육을 담당할 정보교원 및 초등 1·2학년 학습 지원 교사를 확충한다.
교육부는 24일 이런 내용을 담은 '중장기(2024∼2027년) 초·중등 교과 교원 수급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2024·2025학년도 초등교사 신규 채용은 연간 2천900명~3천200명으로 지난해 실시한 신규 채용(3천561명)보다 10.1∼18.6% 줄어든다. 2026·2027학년도 신규 채용 규모는 2천600∼2천900명으로 최대 27.0% 감소한다.
중등(중·고교) 교사의 2024·2025학년도 신규채용은 4천∼4천500명으로 2023학년도(4천898명)에 비해 8.1∼18.3% 축소된다. 2026·2027학년도는 전년도보다 최대 28.5% 줄어든 3천500∼4천 명을 선발한다.
교육부는 이번 교원수급계획을 통해 2027년까지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초등은 12.4명, 중등은 12.3명으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2020년 기준 각 14.4명·13.6명)보다 낮아져 교육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교육부는 이번 계획은 학령인구 감소와 미래교육 수요를 종합적으로 반영하고, 교육계는 물론 경제·인구 등 관련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인구감소지역(89개 지자체) 내 소규모 초등학교 1천100곳에는 학교 운영에 필요한 최소한의 교원을 배치해 학생 학습권을 보장하고, 인구 유입 지역에도 학교·학급 신설에 필요한 교원을 별도로 확보해 과밀학급을 줄일 계획이다.
이 밖에 2025년부터 확대되는 정보교과 수업이 잘 운영되도록 모든 중·고교에 1명 이상의 정보교과 교원을 배치하고, 일정 규모 이상의 초등학교에도 정보교과 전담교원을 둘 예정이다.
학생들의 학습 격차를 줄이기 위해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한 학습지원 담당교원도 추가로 배치한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학생 수 감소를 교육의 질 제고의 기회로 활용하려면 교사의 역할이 중요하다. 선생님들이 수업 변화를 주도하고 다양한 혁신적 시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교육부의 교사 감축 방안에 대해 교육 현장에서는 학생 맞춤형 교육을 위해선 안정적인 교사 수급이 필수적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입장문을 내고 "학급 당 학생 수를 농어촌과 도시를 모두 합산해 평균치로 계산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학생 한 명 한 명을 제대로 살피고 활발히 교감하려면 20명 이하 학급이 구축돼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