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현희, 감사원 출석 "조작 감사"…1인 피켓 시위

감사 당사자 직접 입장 소명 '대심'제도 따라 첫 출석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3일 서울 종로구 감사원에서 권익위 감사와 관련한 본인 입장을 직접 소명하는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3일 서울 종로구 감사원에서 권익위 감사와 관련한 본인 입장을 직접 소명하는 '대심'에 출석하고 있다. 대심 제도는 사회적 파급효과가 크거나 견해차가 큰 사안에 대해 감사받은 당사자들이 감사위원들에게 본인의 입장을 직접 소명하는 제도다. 연합뉴스

근태 문제 등으로 감사를 받는 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은 자신에 대한 감사원 감사를 '조작 감사'라고 주장하며 최재해 감사원장의 불참과 업무 배제를 요구했다.

전 위원장은 3일 오후 감사원에 도착해 전원위원회(대심) 출석에 앞서 "조작 감사의 내용을 감사위원들이 밝혀줄 것을 요청한다"며 "감사할 때 비위 의혹의 증거가 나오지 않자 거의 종결하려는 시점에 제보자로 강력히 의심되는 분을 증인으로 둔갑시켜 그 내용으로 수사 요청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 위원장은 이날 '제보자를 증인으로 둔갑, 감사원 조작감사 사죄하라!', '불법·조작 감사 피해자 권익위 직원 징계 철회하라!'라는 문구가 적힌 피켓을 들고 1인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전 위원장은 최재해 감사원장 등은 자신과 이해관계가 얽혀있으므로, 회의에 참석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감사위원이 '자기가 해당 안건의 당사자이거나 이해관계가 있는 경우 감사위원에서 제척·회피해야 한다'는 감사원 규칙 제8조를 근거로 내세웠다.

그러나 감사원은 이해충돌방지법 5조에서 규정하는 '사적 이해관계자'에 최 원장이 해당되지 않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앞서 감사원은 지난해 8월부터 전 위원장 근태와 출장비, 유권해석 업무 등에 관한 감사를 진행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2020년 9월 추미애 당시 법무부 장관 아들의 군 특혜 의혹과 관련, 권익위가 추 전 장관에게 유리하게 유권해석을 하도록 개입했다고 보고 검찰에 직권남용 혐의로 수사를 요청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