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화제 돌리기 화법이 적절치 않다는 비판이 당 안팎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 대표는 최근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 수사와 관련해 질문을 받으면 답변 대신 여당 인사들의 수사 상황을 언급하면서 대응하고 있다.
민주당 중진인 이상민 의원은 4일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이 대표의 반문 화법을 두고 "무슨 뜻인지는 대략은 알겠지만 그러한 대응에 공감하기는 조금 어렵다"며 "굳이 당대표가 그런 식의 반응을 보이는 게 별로 호의적이지 않을 것 같다"고 지적했다.
최재성 전 청와대 정무수석도 이날 YTN 라디오 '박지훈의 뉴스킹'에 출연해 "야당에 대한 정치 공세, 정치 수사에 비해 너무 편파적이라는 점을 에둘러 지적한 것 같지만 당대표가 할 수 있는 발언이나 행위가 아니다"며 "돈 봉투 문제 등을 질문하면 그것에 맞는 얘기를 해야지 타당을 끌어들이는 것은 좋은 방법은 아니다"고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일각에서는 이 대표의 반문 화법에 대해 돈 봉투 당사자들이 탈당한 만큼 당과 관련을 최대한 피하는 대신 여당 이슈를 부각시켜서 여론전을 펼치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앞서 이 대표는 지난 3일 돈 봉투 의혹으로 탈당한 윤관석·이성만 의원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 대신 "우리 태영호(국민의힘) 의원 녹취 문제는 어떻게 돼 가나. 명백한 범죄 혐의로 보여지던데"라고 반문했다.
이 대표는 그전에도 돈 봉투 의혹 질문에 "김현아 (전) 의원은 어떻게 돼 가고 있느냐", "박순자 전 의원 수사는 어떻게 되고 있는가. 관심이 없는 것 같다"는 등 자당 문제에 대한 답변 대신 여당 인사들의 수사로 거듭 화제를 돌린 바 있다.
박상병 인하대학교 정책대학원 교수는 "이미 검찰에서 수사 중인 상황이고, 핵심인사들이 탈당한 뒤 수사를 받겠다고 했으니 당대표 입장에서 감 놔라 배 놔라 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이 대표는 본인 문제도 풀어나가야 하는데 송영길 전 대표의 사법리스크까지 언급하기엔 심리적 부담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