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윤석열 정부 1년] 신한울 3·4호기 재개로 살아난 '원전 생태계'

文정부 기조 탈원전 정책 폐기…울진·영덕·경주 원전벨트 부흥
발전량 따라 수백억 세수 효과 톡톡
독보적 기술개발, 안정성, 환경성 등 준비도 이뤄져야

신한울 1호기(왼쪽 첫 번째)와 신한울 2호기 전경. 신한울 3·4호기는 인근 부지에 건립될 예정이다. 한수원 제공
신한울 1호기(왼쪽 첫 번째)와 신한울 2호기 전경. 신한울 3·4호기는 인근 부지에 건립될 예정이다. 한수원 제공

윤석열 정부 들어서 에너지 분야이자 지역현안과 관련한 큰 변화는 원전정책이다. 윤 정부는 지난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탈원전 정책을 폐기하고 원자력산업 생태계 강화에 힘을 실었다. 이를 시발로 경북의 원전 생태계도 착착 복원되고 있다.

공사가 멈춘 경북 울진의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계약이 체결됐고 기자재 제작 등의 제반 여건도 순항하고 있다.

총사업비가 11조원에 달하는 신한울 3·4호기는 윤 정부의 원전 확대 정책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8일 경북도에 따르면 3월 맺은 신한울 3·4호기 주기기 계약은 계약 검토인력 대폭 확대, 계약 조건·가격 협상 병행을 추진하며 계약 소요 기간을 줄였다. 올해 상반기 내 환경영향평가를 완료하고 이르면 7월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 승인 및 후속 부지정지 공사에 착수한다. 신한울 3·4호기 건설은 지난 정부에서 탈원전 정책과 함께 2017년 중단된 바 있다.

신한울 3·4호기 건설은 올해 상반기 안에 환경영향평가를 끝내고, 이르면 7월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 승인과 후속 부지 정지 공사 착수를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 완공 목표 시기는 2032년(3호기)과 2033년(4호기)이다.

신한울 원전 건설 재개로 경북 동해안의 원전 지대는 수년 만에 봄날을 맞고 있다. 경북도 역시 울진과 영덕, 경주에 이르는 동해안 원전벨트 비상에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실제로 지난 정부 내내 감소 가동을 해 오다 지난해 말 정상 가동에 들어간 신한울 원전 1호기의 경우 울진군에 역대 최대의 지방세를 신고하는 등 '경제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울진군에 따르면 한국수력원자력은 신한울 1호기의 취득세 462억원과 농어촌특별세 40억원, 지방교육세 13억원 등 515억원을 군에 신고했다. 여기에다 발전량에 따라 부과하는 지역자원시설세도 연간 100억원 이상 걷힐 것으로 예상된다.

원전 업계 종사자와 주민들은 "원전 일감이 늘고 정부의 대출 지원 등으로 탈원전의 어둡고 긴 터널에서 빠져나온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구사일생한 원전 산업인 만큼 원전의 독보적인 기술개발을 넘어 안전성, 환경성 등에서 더욱 알찬 준비를 해 나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경북도 관계자는 "원전생태계 완전 정상화를 위해선 신한울 3·4호기 이후 프로젝트 개발도 지금부터 고민해야 한다"며 "일각에서 제기되는 안전성 문제는 물론 해외진출 등 안정적인 일감 확보를 위해 정부와 한수원, 관련업계가 모두 힘을 합쳐야 한다"고 했다.

〈키워드〉원전주기=핵분열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는 원자로, 발생한 열로 증기를 생산하는 증기발생기, 증기로 전력을 생산하는 터빈발전기 등을 말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