먹거리 물가의 가파른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5월 가정의 달 밥상을 위협하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의 먹거리 중 상당수 품목이 물가 상승률 10%를 넘기면서 외식 물가 상승세를 부추기고 있다.
8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7%로 지난해 2월(3.7%) 이후 14개월 만에 처음으로 3%대로 떨어졌다. 그러나 먹거리 물가 지표인 외식 물가 상승률은 7.6%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0.2%포인트(p) 올랐다.
지난달 외식 물가 상승률은 전체 평균치 대비 3.9%p 높았는데 이는 1992년 5월(5.0%p) 이후 약 31년 만에 가장 큰 격차다. 전체 소비자 물가에서 외식 등 먹거리 물가 부담이 크다는 뜻이다. 지난달 외식·가공식품 세부 품목 112개 중 28.6%인 32개는 물가 상승률 10%를 웃돌았다.
품목별로 보면 잼(34.8%)과 드레싱(32.6%)이 30%가 넘었고, 치즈(24.9%), 물엿(23.7%), 맛살(23.2%), 어묵(22.6%), 참기름(22.1%), 파스타면(22.0%) 등은 20%를 넘었다. 밀가루(19.2%), 햄버거(17.1%), 식용유(15.4%), 당면(15.1%), 국수(13.7%), 라면(12.3%) 등은 10%를 넘었다.
치솟는 먹거리 물가에 정부는 식품기업들에 가격 인상 자제를 요청하고 나섰지만,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식품업계에 부당한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 피할 수 없는 경우에도 인상 폭을 최소화할 것을 요청했다. 올해 들어서는 농림축산식품부가 업계와 매달 한 두차례 간담회를 열며 압박 수위는 높이는 모습이다.
그러나 전기·가스 요금처럼 먹거리 물가를 인위적으로 누를 경우 한 번에 가격이 크게 뛸 수 있다는 걱정도 나온다. 식품기업들의 실적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기업들도 제품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는 시점이 도래하면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한 식품기업 관계자는 "정부 눈치가 보여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는 있지만 시기가 되면 가격을 올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식품기업 실적이 전반적으로 저조한 상태라 단기적으로는 가격을 억누를 수 있어도 장기적인 인상은 외면하기 어렵다"고 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금리 인상 등으로 가계 구매력이 떨어진 상황에서 식품기업도 큰 폭으로 가격을 올리긴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소비자 지갑이 가벼워져 가격을 무턱대고 올리긴 힘들 것"이라며 "가계 구매력 감소를 고려하는 선에서 생산비 증가분을 가격에 반영하는 정도가 적절해 보인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