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출금리 1%p 오르면 대출자 소비 0.49% 감소"

한국금융연구원 연구 결과
연구원 "대출금리 1%p 오르면 전체 소비 0.23% 감소"
"자영업자·저연령층의 소비위축과 연체 위험 주시해야"

'KB국민희망대출'이 출시된 27일 오후 KB국민은행 여의도 본점 창구에서 시민들이 상담을 받고 있다. 이 대출은 2금융권의 신용대출을 낮은 금리의 은행권 대출로 바꿔주는 상품으로, 은행에서 대출받기가 어려웠던 중·저신용자들 입장에서는 이자 비용을 줄이고 개인 신용도를 높일 기회다. 연합뉴스

대출금리가 1%포인트(p) 오르면 이자 상환 부담 가중으로 대출자 소비가 0.49%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김현열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4일 '금리 상승에 따른 차주의 이자 상환 부담과 소비의 변화'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김 연구위원이 코리아크레딧뷰로(KCB) 표본자료를 이용해 추정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으로 금리가 1%p 오르면 평균적으로 차주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1.94%p 높아진다.

DSR은 연 소득 대비 갚아야 할 원리금의 비율이다. DSR이 1%p 높아진다는 건 소득의 1%를 원리금을 갚는 데 추가로 써야 한다는 뜻이다.

김 연구위원은 "KCB 자료 분석 결과 DSR이 1%p 높아지면 분기별 소비가 0.06∼0.44% 범위에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런 내용을 종합하면 금리 1%p 인상으로 대출자의 현금흐름 악화는 분기별 소비를 0.49% 감소시킨다"고 설명했다.

차주 특성별로 보면 자영업자의 경우 금리 인상에 따른 DSR 상승 폭이 급여소득자보다 컸으며 소비 감소율도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39세 이하 청년층이 다른 연령대 대비 소비를 더 많이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대출금리 상승이 지속되면 민간 소비에 하방 압력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부채 보유 가구 비율, 부채 보유 여부에 따른 평균 지출액을 고려하면 대출금리 1%p 인상이 DSR을 변화시키면서 전체 소비 감소 정도는 약 0.23%로 추정된다"고 했다.

이어 "이자 상환 부담 증가로 인한 소비 제약은 자영업자, 저연령층에서 크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해당 계층의 소비 여력과 연체 위험을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